시총 서열까지 바꾼 이차전지 광풍… 포스코그룹 6→5위, 에코프로그룹 15→6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홍승우 기자
입력 2023-08-02 06: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DB
[아주경제DB]

이차전지 광풍이 재계 지도까지 바꾸고 있다. 유가증권에 상장된 대기업집단 계열사들이 배터리 관련주의 급등으로 시가총액이 연초 대비 350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에코프로그룹, 포스코그룹 등 이번 배터리 광풍의 가장 큰 수혜주들은 시가총액 상승분이 수십조원에 달해 시총 기준 재계 순위마저 바꿔 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76개 대기업 집단 중 상장사를 갖고 있는 73개 그룹, 338개사의 시가 총액을 비교한 결과 1월 2일 기준 1423조7366억원이던 시가 총액 총합은 7월 28일 기준 1773조9550억원으로 집계됐다. 연초 대비 350조2184억원이 늘었다. 

◇에코프로그룹 시총 460.4% 폭등= 시가 총액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기업은 에코프로그룹으로 28일 기준 70조5871억원을 기록했다. 연초(1월 2일) 12조5965억원으로 15위를 기록했던 에코프로그룹은 57조9906억원(460.4%) 폭등하며 시총 순위 6위를 차지했다. 시총 증가액도 전체 3위에 오르는 등 성장가도를 달렸다.
 
에코프로그룹은 지난 5월에 대기업 집단에 편입돼 현재 재계순위 58위지만 시가 총액으로는 이미 재계 상위권 그룹사와 어깨를 나란히 한 모습이다.
 
계열사별 증가폭을 살펴보면 에코프로(26조6238억원, 960.1%), 에코프로비엠(30조7194억원, 336.3%), 에코프로에이치엔(6574억원, 94.0%) 등이다. 에코프로는 10배, 가장 적게 오른 에코프로에이치엔도 2배 가까이 올랐다.
 
에코프로는 지난달 10일 장 중 101만5000원을 기록하는 등 주목받던 같은 달 18일 종가 기준 100만원을 넘어서며 ‘황제주’에 올랐다. 이후 지난 7월 25일 장 중 132만1000원, 종가 기준 129만3000원을 달성했다.
 
단기적으로 조정받는 모습도 보였다. 에코프로는 2분기 부진한 실적에 5~6%대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고, 지난달 27일에는 전 거래일 대비 24만3000원(19.79%) 폭락하며 100만원선을 내주기도 했다. 대부분 외국인 차익실현 매물이 나온 영향으로 풀이된다.
 
◇포스코그룹, 시총 100조원 돌파= 포스코그룹도 이차전지 광풍에 시총 100조원을 돌파했다. 총 6개의 상장사를 가진 포스코그룹은 연초 41조9388억원에서 70조5520억원(168.2%) 늘어난 112조4911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재계서열 10대 그룹사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포스코그룹은 연초 5위였던 카카오그룹을 밀어내고 전체 시총 순위 5위를 차지했다.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 시총은 52조3496억원으로 같은 기간 29조3462억원(127.6%) 증가해 50조 클럽에 진입했다. 포스코홀딩스 주가는 지난달 12일부터 같은달 25일까지 10거래일 동안 1거래일 제외하고 모두 상승마감했다.
 
포스코퓨처엠 시총은 39조5062억원으로 같은 기간 24조6720억원(166.3%) 늘어 30조 클럽에 들었다. 포스코퓨처엠도 지난달 14일부터 같은달 25일까지 1거래일을 제외한 7거래일 상승세를 보였다.
 
이처럼 포스코그룹 시총이 늘어날 수 있었던 이유는 전사적으로 배터리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영향으로 풀이된다.
 
앞서 포스코홀딩스는 지난달 11일 ‘이차전지 소재사업 밸류데이’를 통해 완성배터리를 제외하고 배터리 원료부터 핵심소재까지 생산 및 공급하는 밸류체인을 형성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포스코퓨처엠의 경우 이차전지 양·음극재 동시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변함 없는 시총 1~4위= 시가 총액 기준 1위 삼성, 2위 LG, 3위 SK, 4위 현대차 등의 순위는 변함이 없었다. 
 
삼성그룹의 17개 상장사 시총은 연초 518조824억원에서 98조2373억원(19.0%) 늘어난 616조3197억원을 달성했다. 이 중 삼성전자 27.2%, 삼성중공업 75.0%, 삼성엔지니어링 55.4%, 삼성화재 24.7%, 삼성SDI 10.1% 등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제일기획 -16.1%, 호텔신라 -11.3%, 삼성물산 -8.4%, 삼성바이오로직스 -5.2% 하락했다.
 
LG그룹의 경우 11개의 상장사가 연초대비 26조5445억원(13.3%) 늘어난 226조7422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배터리와 관련된 LG에너지솔루션 22조4640억원(21.5%), LG화학 3조2472억원 (7.6%)의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SK그룹의 경우 21개 상장사 중 14곳의 시총이 증가해 총 168조8863억원을 기록했다. 연초(122조8271억원) 대비 46조590억원(37.5%) 늘어난 금액이다. SK하이닉스의 경우 37조745억원(69.1%), SKIET의 경우 3조4437억원(89.6%) 증가하는 등 SK그룹 역시 반도체, 이차전지 관련 상장사가 그룹 전체 시총을 견인했다.

현대차그룹 역시 글로벌 실적에서 강세를 보이며 연초 99조7700억원에서 123조1300억원을 기록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연초에는 반도체 업종에 대한 투심도 양호한 모습이었다”며 “지금은 투심이 악화되긴 했지만 증권가에서는 하반기 반도체 업황이 회복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증시에서 IT업종에 대한 투심이 위축된 가운데 카카오그룹은 48조2470억원으로 연초보다 1조9760억원(4.3%) 늘어나는 등 선방했지만 포스코, 에코프로그룹에 밀려 시총 순위는 두 계단 하락한 7위를 기록했다.

◇아모레·CJ·GS 등은 시가총액 감소= 시가 총액이 감소한 기업들도 있다. 같은 기간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감소한 그룹은 아모레퍼시픽그룹으로 연초 10조7702억원에서 6조3010억원(58.5%) 줄어든 4조4692억원으로 절반 이상 감소한 셈이다. 

이어 CJ그룹은 16조4809억원에서 11조5329억원으로 같은 기간 4조9480억원(30.0%) 줄었다. 9개 상장사 중 CJ씨푸드 1곳을 제외한 8곳 모두 시가총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시총 규모가 감소한 대기업은 GS그룹 2조491억원(19.0%), 넷마블 1조6754억원(18.8%), 삼천리 1조2114억원(66.2%), 신세계 1조1178억원(17.5%) 등이다.

한편 코스피 상장사 전체 시총은 2075조549억원에서 2514조5321억원으로 439조4771억원(21.2%) 증가했다. 이 중 대기업집단 소속 상장사 시총 비중은 연초 68.8%에서 70.4%로 늘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이차전지 쏠림 현상이 두드러진 가운데 국내증시 변동성이 부각됐다”며 “변동장세에 비교적 안정성이 높은 대기업, 대형주에 대한 선호현상도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