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산 공공비축 쌀 45만톤 매입..."시장 격리 효과 기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조아라 기자
입력 2022-09-01 14:2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지난해보다 10만톤 더 많아

서울 한 재래시장에서 햅쌀과 잡곡을 팔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가 연말까지 쌀 45만톤(t)을 공공비축용으로 매입하기로 했다. 2007년 이후 가장 많은 매입량이다.

농식품부는 2017년 이후 매년 공공비축 쌀을 35톤(t)씩 매입해왔다. 그러나 올해는 이보다 10톤(t) 많은 물량을 사들이기로 했다. 쌀값이 45년 만에 최대 폭으로 떨어지면서 농민들의 곡소리가 커지자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평년보다 2~3주 이른 시기에 공공비축 쌀을 매입하는 만큼 올해산 쌀 10톤(t)을 시장에서 조기에 격리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농식품부는 기대했다. 공공비축미 매입가격은 통계청에서 10월 5일∼12월 25일 기간에 10일 간격으로 조사한 산지 쌀값의 평균 가격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농식품부는 올해산 공공비축미 매입 예산을 1조원가량 편성해 둔 상태다.

권재한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매입물량을 확대하고 기존보다 매입 시기를 앞당겨 2022년산 쌀 10만톤(t)을 조기에 시장 격리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농업인은 공공비축미 출하 직후 포대(40kg)당 3만원의 중간정산금을 받고 나머지 금액은 매입가격이 확정된 후 연내 정산받는다. 매입 대상 벼 품종은 시·군에서 2개 이내로 지정했으며, 지정된 품종 이외 품종으로 공공비축미를 출하한 농업인은 5년간 공공비축미 매입 대상에서 제외한다.

매입한 쌀 45만톤(t) 중 1만톤(t)은 '아세안+3 비상 쌀 비축제(APTERR)' 운영을 위해 별도로 보관·관리한다. 또한 친환경 벼 7000톤(t)을 일반벼 특등가격으로 매입해 유기농업의 날에 군수용 등으로 우선 공급할 계획이다.

권 실장은 "45만톤(t)을 안정적으로 매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기상 상황 등을 고려해 2022년 쌀 수확기 대책도 선제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