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시한폭탄된 부동산PF] 부동산 PF, '2금융권'부터 터진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영훈 기자
입력 2022-08-03 18:1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관련 부실이 현실화하면 그 시발점은 제2금융권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제1금융권인 은행들이 선제적으로 규제 강화에 나서면서 관련 수요가 고스란히 2금융권으로 쏠렸기 때문이다.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급팽창한 부동산 시장 호황을 등에 업고, 공격적인 영업에 나선 저축은행과 증권사, 보험사 등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보험사의 작년 말 부동산 PF 대출 총 잔액은 42조25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내 18개 은행(수출입은행 제외)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인 29조161억원보다 13조96억원 많은 수준이다. 2019년 말 8조8433억원에서 추가로 4조원 넘게 차이가 벌어졌다.
 
문제는 보험사가 저축은행, 증권사 등 다른 2금융권과 달리 대출 한도가 없다는 점이다. 지금과 같은 부동산 시장 침체기에 대규모 부실을 초래할 가능성도 커진다는 의미다. 이는 추가적인 부실을 유발하는 도화선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저축은행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저축은행 PF 대출 규모는 2019년 말 6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9조5000억원까지 늘었다. 올해 3월 말에는 처음으로 10조원을 넘어섰다. 최근 원자재와 인건비 부담으로 PF 사업장 작업이 지연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리스크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다. 
 
부동산 PF 대출에 대해 느슨했던 심사 기준도 발목을 잡고 있다. 앞서 금감원이 PF 대출 사업장 1174곳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결과 공정·분양률이 저조한데도 '정상'으로 분류해 집행한 대출 규모만 1조3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들에는 급격히 늘린 부동산금융 채무보증이 뇌관으로 떠올랐다. 앞서 부동산 자산에 기반해 발행된 유동화증권에 유동성이나 신용공여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관련 취급량을 공격적으로 키워왔다. 실제로 전체 증권사 채무보증 규모는 작년 말 기준 28조7000억원으로 직전년 말 22조7000억원보다 6조원가량 늘었다. 이 역시 급격한 금리 상승으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면 연쇄 부실을 일으킬 여지가 크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관련 부실을 방어하는 데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취임 직후 진행한 업권별 간담회에서 ‘PF 대출’ 관련 우려를 여러 번 표출했다. 그림자금융(은행시스템 밖에서 신용중개에 관여하는 기관)에 대한 관리 강도도 높이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추산에 따르면 부동산 그림자금융은 올해 1월 말 기준 750조3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3년 전인 2018년 말 기준 446조9000억원에 비해 67.9% 급증했다. 이 가운데 비은행 PF 대출 규모는 78조1000억원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이로 인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한 대손충당금을 쌓아놓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조영현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만약 경기가 하락하면 부동산 PF 등 부실화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갖추려면 결국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고, 자본 확충 등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