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 변이 일주일새 719명↑···신규 변이 중 72%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효정 기자
입력 2021-07-19 15:3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6월 3주차 17명→7월 2주차 719명, 한 달 사이 42배 증가

정은경 청장은 19일 정례브리핑에서 “4차 유행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거리두기와 방역수칙을 철저히 이행하고, 마스크 착용과 적극적인 진단검사 등 방역수칙을 충실히 따라 달라”고 당부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에서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자가 일주일새 700여명 늘었다. 전체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의 71.8%에 해당하는 수치다.

19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최근 1주간(7월11일∼17일) 국내에서 발생한 확진자 가운데 주요 4종 변이 바이러스가 검출된 환자는 1001명이다.

이는 해외유입을 제외한 국내 발생 확진자만 분석한 것으로, 이 가운데 델타형 변이가 719명을 차지해 전체의 71.8%에 달했다.

국내 발생 확진자 가운데 델타형이 확인된 사례는 6월 3주차에는 17명에 불과했지만 이후 주별로 21명, 52명, 250명, 719명으로 급증했다.

델타형 변이 감염자만 놓고 보면 한 달 사이에 약 42배로 늘어난 것이다.

나머지 282명은 영국 유래 ‘알파형’ 변이 감염자였다. ‘베타형’, ‘감마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국내 검출률 역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주간 국내 확진자의 변이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분석한 건수 대비 주요 변이가 검출된 비율을 계산한 ‘검출률’은 47.1%로 전주(36.9%)보다 10.2%포인트(p) 상승했다.

특히 델타형 검출률은 지난 1주간 33.9%로 직전 1주(23.3%)보다 10.6% 포인트 증가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4주간의 감염 경로를 보면 가족, 지인, 직장 등 소규모의 접촉 감염이 증가하면서 확진자 접촉에 대한 비중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면서 “주요한 전파 위험 요인은 밀폐되고 밀집된 환경에서 불충분한 환기,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장시간 체류 등이 위험요인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 청장은 “현재 4차 유행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거리두기와 방역수칙을 철저히 이행하고, 마스크 착용과 적극적인 진단검사 등 방역수칙을 충실히 따라 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