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세계 자동차 업계의 인수합병(M&A)이 위축됐지만,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다시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4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글로벌 컨설팅업체 PwC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 발생 이후인 지난해 상반기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M&A는 120억 달러(약 13조원) 규모다.
전년 동기 270억 달러(약 29조원) 대비 56% 감소한 수치다. 투자 건수 기준으로는 415건에서 350건으로 16% 줄었다.
이는 주요 기업이 유동성 악화를 우려하면서 대규모 지출이 필요한 M&A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그동안 주목받던 산업 영역의 성장 가능성이 작아지는 등 분야별 재평가가 이뤄지면서 투자 불확실성이 커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다만 연구원은 연결성과 자율주행, 공유, 전동화 등 미래차 트렌드로 꼽히는 기술 발전이 지속하는 등 자동차 산업의 변화 동인이 여전해 M&A는 다시 활성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최근에는 장기투자와 기술융합, 내재화를 염두에 둔 인수합병이 가시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이 자율주행차 스타트업인 죽스를 인수했고, 미국의 반도체 업체인 인텔이 이스라엘의 서비스형 모빌리티 스타트업 무빗을 인수했다.
또 현대차는 미국의 로봇 개발 전문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인수하기로 했다.
전현주 연구원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거대 기업들의 M&A 물밑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며 “기업 간 경쟁 구도 변화에 따라 연쇄적인 M&A 활성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에 전 연구원은 자동차 M&A 활성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정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컨설팅 제공 등 M&A를 고려 중인 기업을 적기에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나 인센티브와 조건부 감세 등 세제 혜택뿐만 아니라 M&A를 장려하는 문화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4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글로벌 컨설팅업체 PwC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 발생 이후인 지난해 상반기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M&A는 120억 달러(약 13조원) 규모다.
전년 동기 270억 달러(약 29조원) 대비 56% 감소한 수치다. 투자 건수 기준으로는 415건에서 350건으로 16% 줄었다.
이는 주요 기업이 유동성 악화를 우려하면서 대규모 지출이 필요한 M&A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연구원은 연결성과 자율주행, 공유, 전동화 등 미래차 트렌드로 꼽히는 기술 발전이 지속하는 등 자동차 산업의 변화 동인이 여전해 M&A는 다시 활성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최근에는 장기투자와 기술융합, 내재화를 염두에 둔 인수합병이 가시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이 자율주행차 스타트업인 죽스를 인수했고, 미국의 반도체 업체인 인텔이 이스라엘의 서비스형 모빌리티 스타트업 무빗을 인수했다.
또 현대차는 미국의 로봇 개발 전문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인수하기로 했다.
전현주 연구원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거대 기업들의 M&A 물밑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며 “기업 간 경쟁 구도 변화에 따라 연쇄적인 M&A 활성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에 전 연구원은 자동차 M&A 활성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정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컨설팅 제공 등 M&A를 고려 중인 기업을 적기에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나 인센티브와 조건부 감세 등 세제 혜택뿐만 아니라 M&A를 장려하는 문화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