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설탕 판매와 수출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설탕의 소매 매출액은 2015년 2198억원에서 2019년 1614억원으로 26% 감소했다.
같은 기간 식품업계의 설탕 생산량도 149만2939t에서 142만2920t으로 줄었다.
수출액도 2015년 1억5137만 달러(약 1769억5000만원)에서 2019년 1억1977만 달러(약 1400억1100만원)로 21% 감소했다.
aT는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며 저당 열풍이 불어 설탕의 매출액이 감소한 것으로 추측된다"며 "세계적으로도 웰빙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무설탕, 저당 제품 등이 인기를 끈 것이 수출 감소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제조사별 매출은 CJ제일제당이 1290억원으로 시장 점유율 1위(80.8%)를 차지했고, 삼양사(13.3%), TS대한제당(3.0%), 대상(2.0%)이 뒤를 이었다.
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설탕의 소매 매출액은 2015년 2198억원에서 2019년 1614억원으로 26% 감소했다.
같은 기간 식품업계의 설탕 생산량도 149만2939t에서 142만2920t으로 줄었다.
수출액도 2015년 1억5137만 달러(약 1769억5000만원)에서 2019년 1억1977만 달러(약 1400억1100만원)로 21% 감소했다.
제조사별 매출은 CJ제일제당이 1290억원으로 시장 점유율 1위(80.8%)를 차지했고, 삼양사(13.3%), TS대한제당(3.0%), 대상(2.0%)이 뒤를 이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