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들 "무역분쟁·성장세 둔화가 양대 금융리스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안선영 기자
입력 2019-12-09 12:00
도구모음
인쇄
글자크기 줄이기 글자크기 키우기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19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단순 응답빈도수 기준으로 미·중 무역분쟁(74%), 국내 경기 둔화 지속(52%), 글로벌 경기 둔화(40%), 가계부채 문제(40%), 중국 금융·경제 불안(39%)이 위험 요소로 선정됐다.

1순위 응답빈도수 기준으로는 미·중 무역분쟁(39%), 국내 경기 둔화 지속(21%), 글로벌 경기 둔화(9%),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둔화(5%) 순으로 조사됐다.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 경기 둔화 지속, 글로벌 경기 둔화는 대체로 단기(1년 이내)에, 가계부채 문제와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중기(1~3년)에 현재화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응답됐다.

올 상반기 서베이 결과와 비교해 보면 미·중 무역분쟁,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이 계속해서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주목 받았다. 미·중 무역분쟁에 대한 응답비중은 67%에서 74%로 상승했으며,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은 66%에서 52%로 하락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추가됐다.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응답비중은 모두 44%에서 37%로 하락해 이번 서베이의 상위 5개 요인에서는 제외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자료=한국은행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극의시대_PC_기사뷰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페이지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