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인구 2029년부터 '뚝뚝뚝'… 미래 경제위기 불러온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조득균 기자
입력 2019-06-27 12:3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통계청 '시도별 장래인구특별추계' 발표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시도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보면, 지난 2017년 기준 5136만명인 전국 인구는 2028년 5194만명을 정점으로 2029년부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통계청 제공]

2029년 우리나라 인구가 정점을 찍은 뒤 점차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2044년엔 세종시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인구가 줄어드는 마이너스 인구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문제는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 인구가 줄면 고용과 생산은 물론 소비·투자를 위축시켜 경제 위기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시도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보면, 지난 2017년 기준 5136만명인 전국 인구는 2028년 5194만명을 정점으로 2029년부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인구는 2017년 977만명에서 2034년 899만5000명으로 900만명 이하로 줄어든 데 이어 2047년에는 832만명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권역별로 보면 중부권의 2047년 인구는 2017년에 비해 27만명(3.8%) 증가하는 반면, 영남권은 199만명(-15.2%), 호남권은 51만명(-8.9%), 수도권은 22만명(-0.9%)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저출산 고령화의 영향으로 전국 각 지역의 중위연령도 급격히 상승할 전망이다. 전체 인구를 한줄로 세웠을 때 한가운데 위치한 나이를 뜻하는 중위연령은 2047년이 되면 전남(63.1살), 경북(62.1살), 강원(61.9살), 전북(60.9살) 등으로 높아질 것으로 추산됐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17년엔 707만명으로 13.8%였지만, 베이비부머 세대 진입으로 2025년엔 1000만명을 넘어선 뒤 2047년엔 총인구의 38.4%인 1879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이처럼 고령층만 급증하면서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유소년·고령인구를 가리키는 '총부양비'는 2017년 36.7명(유소년 17.9명, 고령자 18.8명)에서 2047년엔 3배 가까운 90.9명(유소년 17.6명, 고령자 73.3명)으로 치솟게 된다.

앞으로 30년간 총부양비가 가장 급증하는 곳은 울산으로 175.8%에 이르고, 가장 낮은 세종도 69.3%에 달할 전망이다. 특히 전남의 경우 2046년엔 노년부양비가 100명을 초과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감소가 무서운 이유는 이로 인해 야기되는 충격이 사회 전반에 미치기 때문이다. 인구가 줄어든다는 건 상품과 서비스를 구입할 소비자가 줄어든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인구가 줄면 가뜩이나 작은 한국의 내수시장의 규모는 더 축소될 것이고 일할 수 있는 노동자를 구하는 것도 힘들어진다는 게 전문가들이 시각이다. 인구감소의 또 다른 문제는 지방의 소멸이다. 인구감소로 인해 농어촌 지역의 지방자치단체가 아예 사라져 버릴 수 있는 것이다.

LG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생산가능인구 감소를 경험한 국가의 평균 성장률은 감소 시점을 전후해 급격히 낮아졌다"며 "생산가능인구 감소 초기에 경제위기 등으로 실업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