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시] 상장사들 순익 감소폭 ↑… 디폴트 우려 커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곽예지 기자
입력 2019-05-01 18:1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부채비율 증가 기업도 급증... 전체 상장사의 60%

중국 상하이·선전증시에 상장된 기업들의 순이익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가 증가한 기업 수도 전체의 60%에 달하면서 디폴트(채무불이행)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30일 중국 상하이와 선전 두 메인증시에 상장된 3599개 기업이 지난해 실적 발표를 마무리했다고 1일 중국 경제전문매체 21세기경제보도는 전했다. 

전체 상장사의 지난해 실적을 분석한 결과 전체 상장기업의 순이익은 3조3800억 위안(약 585조2470억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약 600억 위안 감소했다. 2017년 전체 상장사의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9.2% 증가한 것에 비하면 크게 줄어든 것이다. 

일년 간 적자를 낸 부실 기업도 늘었다. 2018년 마이너스 이익을 낸 기업은 452개로 2017년 227개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 가운데 123개 기업의 적자 규모는 10억 위안을 웃돌면서 심각한 실적 부진을 보이기도 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부실 기업들의 총 적자는 2864억50만 위안으로 나타났다. 지난 한 해에만 71억5100만 위안의 큰 적자를 기록한 톈선엔터테인먼트(天神娛樂)의 적자가 규모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매체는 전했다. 톈선은 중국 주요 게임 업체 중 하나로 중국 정부의 강력한 게임규제 탓에 지난해 힘겨운 한 해를 보낸 기업이다.

중국 상하이의 한 사모투자펀드운용사(PEF) 관계자는 “적자를 기록한 많은 기업들은 지난 2015년 당시 중국 증시 불마켓(牛市)이 가져온 인수합병(M&A) 물결에 무리하게 뛰어들었다 3년이 지난 이 시점 막대한 손해를 보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신화통신]

더 큰 문제는 부채가 늘어난 기업도 급증했다는 점이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부채비율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상장사는 2072개 기업이다. 이는 전체 상장사의 약 59%에 달하는 수치다. 

중국의 기업부채는 총 부채 중 가장 높은 비중인 61%를 차지하고 있고, 지난해 6월 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155%로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편에 속한다. 전체 GDP보다 많은 수준으로 과잉 상태에 있는 기업부채가 더 늘어나는 것은 문제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실화로 인한 디폴트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다소 완화하긴 했지만 중국 정부가 그림자 금융에 대한 규제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어 중국 기업들의 채무 상환 능력에 빨간 불이 들어오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향후 전망도 밝지 않다. 올해 1분기 상장사들의 총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늘어나긴 했지만 적자를 기록한 기업 역시 553개로 66개 늘어났다고 21세기경제보도는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