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경 삼성전자 부사장 “인도 정부 스마트폰 과세정책 재검토 중”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유진희 기자
입력 2019-01-28 08:2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김원경 삼성전자 글로벌 어페어 팀장(부사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인도 정부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휴대폰 제조사 관련 과세정책을 재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인도 정부는 휴대폰 제조사가 디스플레이 등 주요 부품을 현지에서 조달하지 않는다면 내달부터 11%에 이르는 수입 관세를 내야 하는 정책을 도입한 바 있다. 하지만 현지에 스마트폰 생산 공장을 둔 삼성전자가 경쟁력 약화 등을 이유로 반발하면서 한 발 물러선 것으로 풀이된다.

김원경 삼성전자 글로벌 퍼블릭 어페어 팀장(부사장)은 28일 오전 서울 대한상의회관에서 열린 ‘김현철 신남방특별위원장 초청 CEO(최고경영자) 조찬간담회’에서 기자와 만나 인도의 최근 과세정책에 대한 질문에 “인도 정부가 재검토하고 있다”며 “좀 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삼성전자 인도법인은 지난 20일 총리실을 비롯한 인도 정부에 “수입산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관련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앞당기는 조치를 유예해달라”는 내용의 탄원서를 제출한 바 있다.

또한 이코노믹타임즈ㆍ인디아투데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탄원서에 “관세 부과 조치를 실시할 경우, 생산비 문제로 삼성전자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 S9'이나 ‘갤럭시노트9’ 같은 주력 제품을 인도에서 생산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

삼성전자는 최근 2년간 8000억원을 들여 현지 노이다에 연간 생산량 1억2000만대 규모의 스마트폰 공장을 새웠으며, 지난해 준공식을 마친 바 있다. 노이다 공장은 저가 모델 전용 공장이나 갤럭시S9 등 프리미엄 모델도 일부 생산해 서남아·아프리카 등에 공급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내달 공개하는 차세대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S10’도 이곳서 일부 생산할 것으로 전해졌다.

인도 정부가 갑자기 관세를 올리게 되면 삼성전자의 글로벌 스마트폰 전략이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번 사태의 원인은 인도 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인 ‘PMP’ 프로그램 스케줄을 앞당긴 게 원인이 됐다.

PMP는 오는 2020년까지 삼성전자와 애플 등 다국적 기업이 자국에서 만드는 스마트폰ㆍTV 등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부품을 완전 국산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일환으로 인도 전자정보통신부는 지난 4일 내달부터 디스플레이 부품을 100% 인도 내에서 생산하지 않을 경우, 부품값에 관세 10%를 붙이기로 결정했다. 기본관세(10%)에 추가관세(1%)까지 더하면 11%의 세금이 붙게 된다.

이 같은 예고 없는 정책 도입에 삼성전자의 반발이 의외로 크자 인도 정부가 사태 추이를 좀 더 파악한 뒤 정책의 도입 여부를 최종 결정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업계를 선도하고 있지만, 중국 등 경쟁업체들이 빠르게 추격하는 만큼 가격적인 부분도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인도 정부가 정책 도입을 보류할 수도 있어 좀 더 차분히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