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에 밀리는 공모펀드 ‘답’ 없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승재 기자
입력 2019-01-22 17:5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이클릭아트]

공모펀드가 안 팔린다. 돈이 많은 자산가나 기관투자자는 이제 사모펀드로 돌아섰다. 반대로 공모펀드는 상대적으로 많은 규제와 과세에 시름하고 있다.

◆갈수록 벌어지는 공·사모펀드 격차

2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사모펀드 설정액은 2018년 말 336조원으로 1년 만에 17%가량 증가했다. 이에 비해 공모펀드 설정액은 217조원으로 같은 기간 3% 남짓 늘어나는 데 그쳤다.

새로 들어오는 돈도 마찬가지다. 같은 기간 순유입액을 보면 사모펀드가 48조원조원으로 공모펀드(7조원)보다 7배가량 많았다.

사모펀드가 펀드시장 전체 설정액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2018년 말 61%로 공모펀드(39%)를 제친 지 한참 됐다. 2016년 9월 사모펀드가 처음 공모펀드를 추월한 다음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

사모펀드는 주로 부동산 자산을 담는다. 2018년 사모형 부동산펀드에 새로 들어온 돈만 15조4000억원에 달했다. 전체 펀드시장 순유입액(55조원) 가운데 30%에 육박하는 규모다. 사모형 주식형펀드에도 1년 사이 4조원이 새로 유입됐다.

사모펀드 인기는 더 이어질 공산이 크다.

정부가 나서서 사모펀드를 밀어주고 있다. 금융당국은 얼마 전 사모펀드 투자자 정원을 49명 이하에서 100인 이하로 완화해주었다. 사모펀드만 굴리는 자산운용사에 요구해온 자기자본 기준도 2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내려갔다. 새롭게 사모펀드 시장에 뛰어드는 자산운용사가 늘어나고 있는 이유다.

오광영 신영증권 연구원은 "사모펀드는 투자자 요구를 반영해 맞춤형으로 운용할 수 있다"며 "공모펀드보다 유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래도 소액투자자엔 공모펀드뿐인데

소액투자자가 잘나간다는 사모펀드에 투자하기는 어렵다. 최소가입액 자체가 적지 않을 뿐 아니라 상품 정보도 대개 큰손끼리만 공유한다. 사모펀드가 부자만을 위한 재테크 수단으로 여겨지는 이유다.

실제로 사모펀드는 자본시장법상 최소가입액만 1억원 이상이다. 펀드 부채비율이 200% 이상이면 3억원까지 올라간다. 사모펀드 모집 인원을 100명으로 늘린다 해도 소액투자자에게는 애초 넘기 어려운 벽이다.

공모펀드 규제를 풀어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늘어나는 이유다.

가장 큰 제약은 '10%룰'이다. 공모펀드는 전체 자산 가운데 10% 이상을 단일종목에 투자할 수 없다. 반대로 사모펀드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소액투자자가 공모펀드를 많이 찾는 만큼 안정성을 높이려는 취지이지만, 결과적으로는 수익률 부진으로 피해만 주고 있다.

공모펀드 과세체계도 문제다. 전체적인 손익을 감안하지 않은 채 일부라도 이익이 나면 세금을 내야 한다. 예를 들어 해외펀드 10개에 가입한 투자자가 9개에서 손해를 봐도 이익을 거둔 1개 상품에 대해서는 세금을 물린다. 국내채권혼합형펀드도 불만이 많다. 주식으로 잃었더라도 채권으로는 벌었다면 이자소득세가 붙는다.

한 자산운용사 대표는 "실제로는 소득을 올리기는커녕 손실을 봤는데 세금을 내야 하는 상황도 많다"며 "도리어 위험성이 큰 개별주식 투자가 유리할지도 모른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