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초대석] 이상호 건산연 원장, 올해만 두 권의 책 출간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강승훈 기자
입력 2018-12-11 13: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모두 건설산업 성장과 발전을 위한 과제 담아"

이상호 한국건설산업연구원장이 서울 논현동 건설회관에 위치한 집무실에서 아주경제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올해 발간한 두 권의 책은 3년 전부터 구상했던 것입니다. 발간 시점이 올해였을 뿐입니다. 모두 우리 건설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과제를 담았습니다."

Q. 4월에 펴낸 '4차 산업혁명, 건설산업의 새로운 미래' 내용을 간략히 소개한다면.

A. 우리 건설산업도 '분업과 전문화'를 탈피해 '연결과 통합'이 가능한 산업구조로 변화해야 한다. 특히 설계·시공·유지관리 및 운영 분야마다 고착화돼 있는 칸막이식 건설업역 규제를 타파하지 않고서는 융복합을 특징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을 건설산업이 수용하기 어렵다. 아울러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해외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Q. '인프라, 평균의 시대는 끝났다' 책은 11월 출간됐다. 

A. 세계 각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중국과 같은 신흥국은 말할 것도 없고, 미국이나 유럽 선진국들도 늘리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4대강 사업 이후 계속 축소해 왔다. 박근혜 정부는 해마다 6.0%씩 중앙정부의 SOC 예산을 축소했고, 문재인 정부도 7.5%씩 줄이겠다고 선언했다. '앞으로 국가인프라 정책은 어떻게 해야 할까'란 물음에 초점을 뒀다.

Q. 과연 국내 인프라 수준은 더 이상 투자하지 않아도 괜찮을 만큼 좋은가.

A.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16개 광역지자체의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그렇지 않다. 교통·물류 인프라와 같이 지역발전을 위한 필수 인프라는 물론이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생활인프라도 부족하다. 지역간, 지역내 불균형도 심각하다. 그럼에도 지자체는 투자재원 부족으로 문제해결이 어렵다. 글로벌 인프라 패러다임은 우리와 너무 다르다. 장기 계획하에 정부의 투자도 늘리고 있으며, 선진국일수록 신규 건설보다 유지관리 투자가 더 많다.

​Q. 국가 인프라 정책도 미래와 글로벌을 겨냥해야 할 것인지.

A. 이제는 우리도 국가 인프라 정책의 새 판을 짜야 할 때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 강국이 되겠다는 비전과 철학의 정립이 있어야 한다. 그런 다음 필요한 인프라 투자와 실제 투자와의 갭을 확인해 투자목표를 세워야 한다. 경제·사회 인프라, 신규·노후 인프라 등 부문별 투자는 '투트랙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재정과 민자 등 구체적 투자재원 조달방안도 강구해야 한다. 개별 부처의 상위에 있는 총괄기구 설립도 필요하다.
 

                  [인프라, 평균의 시대는 끝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