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 고양이?..구글 인공지능도 속은 착시사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8-11-01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까마귀? 검은 고양이! 트위터에서 누리꾼을 혼란에 빠지게 한 사진.

[노트펫] 검은 고양이를 찍은 사진 한 장이 착시효과로 인해 구글의 반전 이미지 검색 알고리즘까지 속였다고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가 지난 30일(현지시간) 소개했다.

트위터에 올라온 사진 한 장이 착시 효과로 누리꾼 수만명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시티즌스 포 에식스(Citizens for Ethics)’의 리서치 디렉터인 로버트 맥과이어는 지난 27일 트위터에 이 사진을 공유하면서 “이 까마귀 사진은 흥미롭다”며 “왜냐하면 그것은 실제로는 고양이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트위터 게시물은 현재 16만건 넘는 ‘좋아요’를 받았고, 6만회 가까이 리트윗 됐다.

이 사진은 사람만 속인 것이 아니라 구글의 인공지능(AI)까지 혼란에 빠지게 했다. 구글의 반전 이미지 검색 도구에 이 사진을 입력했더니, 구글 AI는 “큰까마귀(common raven)”라고 답했다.

구글 이미지 검색은 사진 속 두드러진 점, 선, 질감 등을 분석해서 데이터베이스 속 사진 수십억장과 비교해서 가장 닮은 사진을 찾아낸다. 그 결과가 틀린 것.

누리꾼들은 이 사진이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오리토끼(duckrabbit)” 착각의 실생활판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비트겐슈타인은 유고 ≪철학적 탐구(Philosophical Investigations)≫에서 보는 것과 해석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오리토끼의 모호한 이미지가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가지로 이해될 수 있다고 예를 들었다.



관련기사 더보기
`개똥 안 치우면 반려견 압수`..중국 견주 채점제 도입
`꿈의 인턴십`..손님 강아지와 놀아주면서 시급 100달러
반려견 쫓다 사망한 12살 소녀, 반려견과 함께 묻힌다


김국헌 기자 papercut@inbnet.co.kr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otepet@inbnet.co.kr / 저작권자 ⓒ노트펫,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