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삼성과 애플, 한국과 미국의 차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유진희 기자
입력 2018-07-17 07: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애플의 영업이익률이 높다고 이 회사를 비난하거나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얘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

최근 기자와 만난 한 대기업 소속 혁신연구소 소장은 대뜸 한숨부터 쉬며 이같이 강조했다. 우리 사회가 모든 문제의 원인을 지나치게 기업 탓으로 돌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한 여당 의원은 "삼성이 지난해 60조원의 순이익을 냈는데 이 중 20조원만 풀어도 200만명에게 1000만원을 더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두고 야당 등 각계에서 비판이 쏟아졌다. 기업의 현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서 나온 발언이란 평가다.

'60조원'은 삼성전자의 작년 순이익이 아닌 영업이익이다. 또한 이 돈이 그대로 기업의 주머니로 들어가지도 않는다. 주주 배당, 시설과 R&D(연구개발) 등 우리 경제의 활력을 살리는 데 대부분 재투자된다. 일례로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해 시설설비 투자에만 40조원을 넘게 썼다.

삼성전자는 사회환원에도 소극적이지 않다. 재계 1위라는 명성에 걸맞게 규모 등에서 다른 대기업들을 압도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이달 중 지급할 것으로 알려진 협력사 격려금이 대표적인 예다. 삼성전자의 올 상반기(1∼6월) 반도체 협력사 격려금의 경우, 역대 최대 규모로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 2차 협력사 413곳에 8228억원을 지원했던 협력사 상생펀드 규모도 올해 늘리기로 했다.

정치권도 사회의 발전을 위해 기업에 일정 부분의 역할을 요구할 수는 있다. 문제는 그 방법이다. 애플의 경우 올해 1~3월에만 611억3700만 달러(약 65조4470억원)의 매출과 158억9400만 달러(약 17조145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영업이익률이 26.0%에 달한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의 영업이익(15조6400억원)과 영업이익률(25.8%)을 뛰어넘는 수치다. 그러나 아무도 애플의 영업이익이 지나치게 많다고 비난하지 않는다.

미국 정부는 기업의 지갑을 열기 위해 강압 대신 회유를 택한다. 필요하다면 정책도 바꾼다. 일례로 올해 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기업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미국 기업들의 해외 자산과 수익에 붙였던 35%의 세금을 15.5%(유동자산)와 8%(비유동자산)로 크게 낮췄다. 이에 애플은 해외에 쌓아둔 현금 유보금 대부분을 송환하고 향후 5년간 3500억 달러를 미국 경제 회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쓰겠다고 화답했다.

문제의 원인을 나로부터 찾지 않고 다른 곳에서 찾으면 당장은 편하다. 하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스스로 발전을 이루기는 어렵다. 우리는 당장 편하기 위해 누군가를 비난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곱씹어봐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