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수출 515.8억 달러로 전년 대비 6.1%↑…17개월 연속 증가 (종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노승길 기자
입력 2018-04-01 11:0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3월 기준 사상 최초 500억 달러 돌파…반도체 사상 첫 월 100억 달러 넘어

  • 무역수지는 68억7000만 달러 흑자로 74개월째 흑자 행진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한국 수출이 거침없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7개월 연속 증가에다 3월 기준으로는 사상 최초 500억 달러 돌파다. 한국 수출을 견인하고 있는 반도체는 처음으로 단일 품목 월 1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 수출액이 515억8000만 달러를 기록, 작년 같은 달보다 6.1%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수출은 지난 2017년 11월 이후 17개월 연속 증가세다. 특히, 지난달 수출 실적은 역대 3월 수출 중 사상 최초로 500억 달러를 돌파했다. 3월 일평균 수출은 21억9000만 달러로 3월 일평균 수출 중 사상 최대다.

수출단가도 전년 대비 17.4% 증가하며 16개월 연속 증가했다.

다만 수출물량은 가전·무선통신기기·자동차부품 등의 감소 영향으로 전년 대비 9.6% 줄었다. 수출물량은 지난 2월에도 2.4% 감소했다. 단가상승이 물량감소를 상쇄한 것이다.

1분기 전체로 봐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3% 증가, 2016년 4분기부터 6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산업부 관계자는 "제조업 경기 호조세 지속에 따른 교역 증가, 정보기술(IT) 경기 호황 지속, 유가와 주력품목 단가 상승 등이 수출 증가세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품목별로는 13대 주력품목 중 반도체(44.2%), 컴퓨터(62.5%), 석유화학(0.8%), 석유제품(0.3%) 등 7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자동차(-8.6%), 자동차부품(-11.1%), 무선통신기기(-15.5%), 가전(-22.0%) 등은 줄었다.

특히 반도체는 고부가가치 품목인 MCP(복합구조칩 집적회로)와 SSD(차세대 저장장치) 수출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사상 최초로 단일 품목 월간 수출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지역별로는 유럽연합(24.2%), 일본(9.7%), 중국(16.6%), 아세안(2.2%) 수출이 증가했다.

무역협정 개정에 따른 불확실성과 경쟁 심화 등으로 미국(-1.0%), 베트남(-3.3%), 중남미(-7.8%), 인도(-11.0%), 중동(-22.5%) 등은 감소했다.

미국은 자동차와 자동차부품 등의 수출이 감소한 가운데 반도체 제조용 장비 부품, 시스템 반도체, 쇠고기, 오렌지 등 수입이 15.4% 증가하면서 3월 미국과의 무역흑자가 전년 대비 41.5% 감소한 10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달 전체 수입액은 447억2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 증가했다.

월간 무역수지 흑자는 68억7000만 달러를 기록, 74개월째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산업부는 수출 전망에 대해 "수입규제 확대, 미중 통상 갈등 우려,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시장·환율 변동성 심화, 신흥국 경기 둔화 가능성 등으로 향후 수출 여건이 녹록지 않아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4월에는 전년 수출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와 한국GM 사태 등이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국 경기 호조세 지속에 따른 교역 증가와 IT 경기 호조,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은 수출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했다.

한편, 산업부와 관세청이 공동 의뢰해 산업연구원이 분석한 '수출의 부가가치 및 일감 유발효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 수출은 명목 부가가치 355조원과 일감 322만개의 효과를 유발했다.

수출에 따른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2017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3.1% 중 1.6%포인트만큼 기여했다. 기여율은 50.7%다.

2017년 명목 GDP(1730조원) 대비 수출의 명목 부가가치 유발액(355조원) 비중은 20.5%로 2016년 대비 0.9%포인트 증가했다.

2017년 수출로 인한 일감은 322만3000개로 전년 대비 7.7%(23만1000개)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임금근로자 수의 16.3%다.

일감유발효과 증가율(7.7%)은 같은 기간 전체 임금근로자 증가율(1.3%)의 6배에 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