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인사이트] 이제 4차 산업혁명은 잊고 소프트웨어를 기억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정수 -
입력 2017-07-06 07:1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곽노성 전 식품안전정보원장

곽노성 전 식품안전정보원장. [사진=아주경제 DB]

이정수 기자 = 4차 산업혁명 열기가 뜨겁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클라우드 슈밥 회장이 언급한 이래 서점가에는 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한 책들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올해 있었던 대통령 선거에서도 4차 산업혁명은 뜨거운 주제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4차 산업혁명위원회를 대선 공약으로 제시했으며, 국정기획위원회는 8월에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위원회를 공식출범시킬 계획이라고 한다. 

불현듯 창조경제가 떠오른다. 박근혜 정부는 창의력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구현하겠다는 취지에서 창조경제를 표방했지만, 창조경제는 정의 논란으로 1년 넘게 표류했다. 당시 정부도 창조경제가 무엇인지 정의하는 데 매달렸다. 이 논란은 다음 해 창조경제를 대체하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발표되면서 잠잠해졌다.

4차 산업혁명도 이런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4차 산업혁명이 과장된 표현임을 지적하고 있다. 무인자동차·인공지능은 3차 산업혁명인 정보화의 결과물이지, 새로운 패러다임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사실 4차 산업혁명은 창조경제처럼 글로벌 트렌드를 정의하기 위해 외국에서 만든 용어다. 우리가 만든 용어가 아니다 보니 당연히 우리 문제를 풀어갈 열쇠도 없다. 4차 산업혁명이란 용어 활용으로 세상의 흐름이 빠르게 바뀌고 있으니 우리도 혁신에 매진해야 한다. 이 정도에서 그쳐야 한다.

대신 소프트웨어를 기억하자. 소프트웨어라고 해서 컴퓨터 프로그래밍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눈에 보이는 하드웨어에 대비해서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 그간 우리는 눈에 보이는 것에 집착했다. 연구개발도 사람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보다 대형 연구시설에 집착했다. 연구시설은 눈에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의 가장 큰 문제는 협업이 안 된다는 점이다. 협업을 하려면 사람이 말과 글로 상대방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결과물에 대한 권리도 협의를 통해 정해야 한다.

주입식 교육도 문제다. 특히 과학 분야 학습량은 빠른 과학기술의 발전 속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년 전 대학에서 가르친 내용을 지금 고등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 앞으로 학생들이 이런 방식으로 계속 공부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가 코딩교육이다. 우리는 학생이 코딩하는 능력을 갖는 것에만 집중한다. 반면 영국은 앱 기획과 마케팅까지 가르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협업을 필수로 배우게 된다.

이 일을 주도할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으로 유영민 교수는 좋은 선택이다. 수학과 출신으로 프로그래밍을 했기에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알 것이다. 노파심에 조언을 하자면, 시류에 흔들리지 말고 중심을 잡아야 한다. 정부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이 실패하는 가장 큰 이유가 당초 계획이 아닌, 발주처 공무원의 말에 따라 이리저리 휘둘리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꼭 기억했으면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