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소재 파악 안 된 장기결석 학생 41명”

  • 대구 7명, 대전 6명, 경기·경북 5명(중학교) 등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지난해 소재 파악이 되지 않아 수사 의뢰된 장기결석 학생이 41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병욱 의원(민주당)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6 학년도(2016년 3월~2017년 2월) 장기 결석 현황’에 따르면 이 기간 소재가 파악되지 않아 경찰에 수사 의뢰된 학생이 초등학생 3명, 중학생 38명 등 총 41명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대구가 7명(중학교 5명, 초등 2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전이 6명(중학교), 경기와 경북이 각각 5명(중학교)이었다.

이외에 충남 4명(중학교), 전남 4명(중학교 3명, 초등 1명), 서울·부산·충북이 3명, 전북 1명 등이었다.

학교가 소재 파악을 마친 장기결석생 수는 초등학교 6793명, 중학교 6654명이었다.

이들 중 학교에 복귀한 학생은 초등학교 1824명(26.9%), 중학교 1625명(24.4%)에 그쳤다.

나머지는 해외출국, 대안학교 재학, 검정고시 합격 등으로 공교육을 이탈해 학교에 복귀하지 않았다.

김병욱 의원은 "지난달 교육부에 2016학년도 장기결석생 현황 자료를 요구한 지 2주만에 자료를 받을 수 있었는데 교육부가 올 3월이 지나도록 지난해 현황조차 파악하지 않았다는 말”이라며 "더 이상 부모의 학대나 정부의 무관심으로 인해 피해받는 아이들이 생기지 않도록 교육부가 장기결석생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