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병욱 의원(민주당)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6 학년도(2016년 3월~2017년 2월) 장기 결석 현황’에 따르면 이 기간 소재가 파악되지 않아 경찰에 수사 의뢰된 학생이 초등학생 3명, 중학생 38명 등 총 41명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대구가 7명(중학교 5명, 초등 2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전이 6명(중학교), 경기와 경북이 각각 5명(중학교)이었다.
이외에 충남 4명(중학교), 전남 4명(중학교 3명, 초등 1명), 서울·부산·충북이 3명, 전북 1명 등이었다.
이들 중 학교에 복귀한 학생은 초등학교 1824명(26.9%), 중학교 1625명(24.4%)에 그쳤다.
나머지는 해외출국, 대안학교 재학, 검정고시 합격 등으로 공교육을 이탈해 학교에 복귀하지 않았다.
김병욱 의원은 "지난달 교육부에 2016학년도 장기결석생 현황 자료를 요구한 지 2주만에 자료를 받을 수 있었는데 교육부가 올 3월이 지나도록 지난해 현황조차 파악하지 않았다는 말”이라며 "더 이상 부모의 학대나 정부의 무관심으로 인해 피해받는 아이들이 생기지 않도록 교육부가 장기결석생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