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자율주행 5G 버스 평창서 첫 시연 '평창은 5G 체험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3-14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한준호 기자) 


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KT가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강원도 평창에서 자율주행 5G 버스와 드론 택배 서비스를 처음으로 시연했다. 이와 함께 올림픽 성화 봉송을 가상현실로 체험할 수 있는 차세대 VR 서비스 ‘VR 웍스루’도 최초로 선보였다.

KT는 14일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4대 실감 서비스를 포함해 2018년 평창에서 선보일 예정인 5G 기반의 융복합 서비스를 체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KT가 선보인 4대 실감 서비스는 △싱크뷰(Sync View) △인터랙티브 타임슬라이스(Interactive Time Slice) △360도 VR 라이브(360° VR Live) △옴니포인트뷰(Omni Point View)다.

특히 이날 행사에서는 KT가 새롭게 개발한 ‘VR 웍스루’가 첫 선을 보였다. VR 웍스루는 고정된 위치에서 360도로 둘러만 보던 기존의 VR 서비스와 달리 체험자가 걸어 다니며 가상의 객체를 만지고 느낄 수 있는 차세대 VR 서비스다.

이용자가 VR 고글(VR HMD)과 위치, 동작을 실시간 감지하는 ‘트래킹 센서’를 착용하면 성화봉송 가상현실로 들어가 직접 성화를 잡고 봉화대로 걸어가 점화 하는 체험을 할 수 있다. 누구나 성화봉송 마지막 주자가 된다는 특별한 체험을 할 수 있어 향후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KT는 VR 웍스루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성화봉송을 주제로 특별 이벤트를 실시하는 등 평창올림픽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 KT는 5G 테스트 네트워크에 기반한 ‘자율주행 5G 버스’를 시연해 눈길을 끌었다.

5G 버스는 차량관제센터와 5G 네트워크로 연결돼 다른 차량 및 장애물의 위치정보를 최소한의 지연으로 공유해 충돌을 방지한다. 또한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는 속도, 위험요소, 차간 간격 등이 표시되는 만큼 운전자뿐 아니라 탑승자도 각종 위험요소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5G 버스는 자율주행 기능뿐 아니라 차량 이동 중에 최고 3.2Gbps의 속도를 체험할 수 있다. 버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로 초고용량 미디어 5G 테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전송되는 것은 물론 안경 없이 3D 화면으로 즐길 수 있도록 변환된다.

KT는 자율주행 5G 버스와 자율주행 드론을 결합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기도 했다. 5G 버스가 주행하는 도로에 설치된 택배 보관함에 자율주행 드론이 택배를 배송하면 자율주행 기능으로 양손이 자유로운 운전자가 물품을 수령하는 장면을 연출했다.

지난해 11월 개관한 ‘평창 5G 센터’도 처음으로 외부에 공개됐다. 평창 5G센터는 5G 시범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장비의 기능을 검증을 담당하는 현장 R&D센터 역할을 하고 있다. KT는 미디어를 대상으로 ‘평창 5G 규격’에 참여한 업체들의 5G 장비 사이의 연동을 시연했다.

평창동계올림픽 통신 부문 공식파트너인 KT는 5G 기술을 세계인들에게 선보이는 한편 겨울 올림픽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을 이끌어내겠다는 방침이다.

VR 웍스루와 같이 5G 기술을 기반으로 올림픽을 실감할 수 있는 ‘5G 체험존(가칭)’을 구축해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운영할 계획이다. 평창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강원도 도시뿐 아니라 서울 주요 지역에서도 ‘5G 체험존’을 선보이는 한편 이동형 5G 체험시설을 통해 전국 곳곳에서 5G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