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금융자산 증가 멈췄다… 가구당 평균 9087만원 전년대비 0.8% ↑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2-01 07:0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이클릭아트 제공]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 가계의 금융자산 증가세가 멈췄다.

1일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의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월 기준 전체 가구당 평균 금융자산은 9087만원으로 전년 같은 때보다 0.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직전 1년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2% 이상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1년새 기준금리만큼도 늘어나지 못한 것이다.

가계금융조사를 시작한 이후 2011년 17.3%, 2012년 17.9%로 급증하던 금융자산 증가율은 2013년 8.4%, 2014년 2.1%에 이어 지난해 또 떨어졌다.

연령대별 증가율을 보면 60세 이상(9.0%)만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늘었고 30대(0.8%), 50대(-0.2%), 20대(-0.8%), 40대(-1.6%) 등 나머지 연령대에선 감소했다.

전체 가구의 금융자산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있는 금액을 말하는 중앙값은 지난해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중앙값은 2011~2013년 각각 15.0%, 14.0%, 15.9%씩 상승했으나 2014년 6.5%로 둔화한 데 이어 작년에는 -1.4%로 나타났다.

금융자산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저축액(저축·펀드·주식·채권·보험·연금 등)'은 가구당 평균 6740만원으로 전년보다 1.0% 늘었다.

2011년 21.2%이던 증가율이 2012년 17.6%, 2013년 9.4%, 2014년 3.3%로 빠르게 떨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이러한 상황은 저금리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한은 기준금리는 3월 기준으로 2012년 3.25%, 2013년 2.75%, 2014년 2.50%, 지난해 1.75%까지 내려갔다.

2014년 하반기부터 부동산 거래와 분양 물량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집을 구입하기 위해 보유 금융자산을 투입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지난해 주택매매거래량은 119만4000건으로 전년 대비 18.8% 늘었다.

소득이 늘지 않는 점 역시 금융자산 증가에 발목을 잡았다.

가구당 소득 증가율은 조사시기 기준 2015년(실제 2014년 소득)에 2.3% 늘었다. 앞서 2011년 6.3%, 2012년 5.5%, 2013년 5.8%, 2014년 4.0%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둔화된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