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기획] 2015년 이통시장…‘알뜰폰 대세’ 이어간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1-01 0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새해에도 성장세 지속…가입자 650만명 예상

[사진=우정사업본부 제공]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출범 4년째를 맞는 알뜰폰은 2015년 새해에도 탄탄대로를 달릴 전망이다.

3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 알뜰폰 가입자가 650만명, 전체 이동통신 시장점유율 1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말 현재까지 450만여명을 넘어선 상태다.

2010년 32만명에 불과했던 알뜰폰 가입자는 2012년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선 데 이어 작년에 300만명과 400만명을 훌쩍 뛰어넘을 정도로 무서운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알뜰폰이 이통시장의 ‘5(SK텔레콤):3(KT):2(LG유플러스)’ 점유율 구도에 변수로 급부상했을 정도로 영향력이 막강해졌다.

◆ 알뜰폰의 정의 및 국내 시장 현황

알뜰폰의 정식명칭은 MVNO(가상이동통신망 사업자)로 주파수를 보유하고 있는 이통3사의 망을 이용해 독자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을 뜻한다.

MVNO라는 말이 어렵기 때문에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2012년 6월 정부가 공모 절차를 거쳐 새롭게 정한 용어가 바로 알뜰폰이다.

2011년 6월 아이즈비전이 MVNO 사업에 뛰어든 이후 현재 27개 업체가 알뜰폰 사업자로 등록된 상태다.

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망을 이용하는 사업자가 8곳, KT망이 10곳, LG유플러스은 9곳이다.

알뜰폰 시장은 CJ헬로비전과 SK텔레콤의 자회사인 SK텔링크 양강체제로 굳어졌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CJ헬로비전 가입자는 81만여명으로 18.2%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으며, SK텔링크가 72만여명(16.2%)으로 바짝 추격하고 있다.

유니컴즈가 45만여명(10%)으로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군소 사업자들이 치열하게 경쟁 중이다.

작년 하반기부터 이통3사의 자회사의 알뜰폰 시장 진출이 허용되면서 KTIS(KT)와 미디어로그(LG유플러스)가 대공세를 펼치고 있다.

◆ 알뜰폰 성장 한계와 향후 과제

알뜰폰의 최대 장점은 소비자들이 기존 이통사보다 평균 20%에서 최대 50%까지 저렴한 요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정부 측에서도 고착화된 이통시장에 대한 요금인하 정책이 먹혀들지 않자 특정 사업자들의 독과점에 따른 시장질서 교란을 예방하고 통신요금 하향 안정을 추구하기 위해 도입해 시행하게 됐다.

출범 당시에는 40~60대 중장년층이 주타겟이었으나, 지난해 10월 1일부터 시행된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여파로 보조금이 줄어들자 20~30대 젊은층까지 저변이 넓어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당분간 알뜰폰의 강세에 대해 이견은 없지만, 성장 한계점에 대해서는 분석이 엇갈린다.

지속적인 수요, 즉 LTE 가입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알뜰폰 시장에게는 호재다.

알뜰폰 업체 측에서는 2년 약정 만료가 되는 올해 가입자들의 이탈을 막는 것이 최대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 200억 규모의 전파사용료 면제 연장 여부도 변수다. 알뜰폰 업계는 중소기업 보호 차원에서 출범 이후 2년 동안 면제됐던 전파사용료를 추가 연장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전체적인 이통시장의 포화로 10% 초반이 알뜰폰 시장의 한계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 이통업계 관계자는 “어차피 알뜰폰도 외딴섬이 아니지 않느냐”라면서 “이통업계 전반의 포화 상태에서 자유로울 순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20여개가 넘는 군소 알뜰폰 사업자들의 난립도 해결해야할 과제다. 기업 인수합병(M&A)이 해결책으로 꼽힌다.

같은 맥락으로 업체 규모가 영세하기 때문에 단말기 수급에 대한 어려움도 뒤따른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작년 6월 도매대가 인하, 단말기 할부채권 유동화 지원 등의 지원 정책방안을 발표한 바 있지만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밖에 AS 수준, 이통사 맴버십 혜택에 상응하는 콘텐츠 확보 등 고객들의 높아진 요구 수준을 충족해야 하는 것도 알뜰폰 업계가 넘어야 할 산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