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C 총회 '후폭풍'…주요 산유국 재정압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2-01 17:5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OPEC 총회에서 감산 합의에 실패함에 따라 일부 산유국이 재정압박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


아주경제 김정우 기자 =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원유 가격 하락을 감수하면서도 생산량을 줄이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일부 산유국들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원유 판매 대금이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산유국들은 벌써 내년 재정 수입 차질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가가 곤두박질 치면서 이라크 정부는 내년 예산안을 짜는 데 진통을 겪고 있다. 이라크의 하이데르 알아바디 총리는 30일(이하 현지시간) 국회 보고에서 "유가 하락으로 말미암아 현재 마련된 2015년 예산안은 폐기해야 한다. 새로운 예산안을 10일 이내에 편성하겠다"고 밝혔다고 외신들이 이날 보도했다.

이라크는 원유 수출가격을 배럴당 70달러로 예상하고 내년 예산안을 마련했는데 28일 64달러까지 떨어지자 예산안 변경에 나선 것이다.

유가 하락 때문에 재정을 걱정하는 나라가 이라크만은 아니다.

대부분의 산유국은 원유 수출 대금이 예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유가가 하락하면 타격이 불가피하다.

OPEC 회의에서 일부 회원국의 생산 감축 요구를 무시하고 생산량 동결을 이끌었던 사우디아라비아도 마찬가지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올해 균형 재정을 달성하려면 평균 원유 가격이 배럴당 99.2달러를 유지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유 및 가스 수출대금이 재정의 절반을 차지하는 러시아도 예산안 재편성을 준비 중이다.

러시아는 유가를 배럴당 100달러 수준으로 예상해 2015년 예산안을 마련했는데 현재 수준이 유지되거나 추가 하락하면 급격한 재정 수입 감소로 이어진다.

원유 생산 감축을 강하게 주장했던 베네수엘라도 발 빠르게 예산안 조정에 들어갔다.

베네수엘라는 세계 최대 원유 매장량 보유국으로 석유 수출로 벌어들이는 돈이 전체 수출액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이 유가 하락에 대응해 내년도 예산안에서 지출을 대폭 줄일 것을 지시했다.

아프리카의 주요 산유국인 나이지리아도 재정 지출 축소를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원유 관련 수입이 재정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멕시코도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저유가의 경우 원유 수출 대금이 줄어드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투자자들이 금융시장에서 손을 빼는 것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더욱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OPEC 회의 이틀 뒤인 지난 28일 러시아의 루블화는 1달러당 50루블 이상에 거래돼 사상 최고 환율을 기록했으며, 주요 주가인 RTS 지수도 5년여만의 최저치인 974포인트까지 떨어졌다.

OPEC 회의 이후 30일 처음으로 거래된 사우디아라비아 증시도 5.12% 떨어졌으며, 아랍에미리트(UAE)의 두바이(-4.74%)와 아부다비(-2.63%), 쿠웨이트(-3.35%), 오만(-6.21%), 카타르(-4.28%) 등도 일제히 내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