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부동산 대책' 한 달, 수도권 아파트 시총 2.4조 증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0-01 14: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정부의 '9·1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한 달간 서울·수도권 아파트 시가총액이 2조4000억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일 부동산써브가 서울·수도권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354만1723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시가총액이 8월 말 1279조9123억원에서 9월 말 1282조3206억원으로 2조4083억원 증가했다.

이는 8월 1일부터 총부채상환비율(DTI)·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 부동산 관련 규제가 완화돼 부동산시장에 유동자금 규모가 늘어난데다 재건축 연한 단축, 청약제도 개편 등의 내용이 담긴 9·1대책이 발표되면서 재건축 단지 위주로 매매가격이 올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아파트 시총이 634조5154억원에서 636조2533억원으로 한 달 새 1조7379억원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다. 경기는 5876억원(541조1724억원→541조7600억원), 인천은 828억원(104조2245억원→104조373억원) 늘었다.

서울에서 증가폭이 가장 큰 곳은 강남구(98조7143억원)로 443억원 증가했다. 강남은 개포동 재건축 단지를 비롯해 압구정동의 한강변 재건축 추진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크게 올랐다.

다음으로 재건축 연한 단축의 최대 수혜지역으로 꼽힌 목동이 속한 양천구가 3872억원(31조9123억원→32조2995억원), 서초구 3451억원(67조7044억원→68조495억원), 송파구 1728억원(73조5663억원→73조7391억원), 노원구 1451억원(36조9300억원→37조751억원) 등의 순이었다.

서초는 서초·잠원동 일대 재건축 단지와 1990년 이전 준공 아파트를 중심으로 시총이 올랐고, 송파는 가락 시영, 신천 장미1차 등 재건축 단지의 가격이 상승했다. 노원의 경우 상계·월계·하계동의 재건축 추진 가능 단지의 가격이 뛰었다.

이 밖에 마포(574억원)·용산(482억원)·영등포(423억원)구도 재건축 기대감으로 시총이 증가했다.

경기에서는 광교신도시가 있는 수원시의 시총이 1190억원(51조4246억원→51조5,436억원) 증가했고, 정자동과 분당신도시가 있는 성남시의 시총은 1164억원(62조4862억원→62조6026억원) 늘었다.

인천에서는 연수구의 시총이 603억원(18조8752억원→18조9355억원) 증가했다. 송도국제도시에 기업들이 입주하면서 송도동보다 시세가 저렴한 연수동, 동춘동 일대 아파트값이 오른 것이다.

부동산써브 관계자는 "정부대책 발표로 수도권의 저렴한 아파트 매물은 빠르게 소진 중이고 재건축 기대감으로 매물 회수, 호가 상승 분위기도 형성됐다"며 "다만 매수자들이 신중한 관망세를 보이고 있어 지난달과 같은 가격 상승이 계속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