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명절 앞두고 제약사 윤리경영 확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9-01 17: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박구서 한국제약협회 윤리위원장(왼쪽 셋째)이 지난7월 23일 제약협회 임시총회에서 채택된 제약협회 기업윤리헌장을 낭독하고 있다.[사진=아주경제DB]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제약업계가 리베이트(지급한 상품이나 용역의 대가 일부를 다시 그 지급자에게 되돌려주는 행위) 근절에 앞장서고 있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공정한 경쟁과 투명한 유통질서 확립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명절이 다가오면 의사들을 만나 간단한 선물을 주는 관례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올해 7월부터 실시되고 있는 ‘리베이트 투아웃제’는 제약사 스스로 윤리 경영을 실천하겠다는 자성의 의지를 높이고 있다.

리베이트 투아웃제는 해당 의약품이 불법리베이트로 2회 이상 적발되면 보험급여목록에서 영구히 삭제하는 ‘리베이트 관련 약제 요양급여 제외 규정’을 말한다. 건강보험 등재 위주로 처방하는 관행을 고려할 때 해당 의약품은 사실상 시장에서 퇴출되는 셈이다.

1일 한국제약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 23일 리베이트를 척결하겠다는 취지의 '기업윤리헌장'을 선포한 가운데, 회사 차원에서 준법경영 선포식을 갖거나 자율준수관리자를 지정하는 등 윤리경영에 선도적으로 참여하는 제약사가 57곳을 넘어섰다.

이중 49개사의 CP(공정거래자율준수프로그램)운영팀과 자율준수관리자 등 회사내 윤리경영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은 181명으로 집계됐다.

동아ST·유한양행·녹십자·대웅제약·한미약품·종근당·SK케미칼·한국오츠카제약·안국약품·휴온스 등 주요 제약사들 대부분이 준법경영 실천 선포식을 갖는 등 이행중이다.

일동제약·구주제약·국제약품·동성제약·하나제약·한국다케다제약·한국에자이·환인제약 등 8개사도 CP 도입에 적극적이다.

대웅제약은 청렴하고 건전한 기업문화 정착 및 기업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윤리경영 핸드북'을 발간해 건전한 기업문화를 정착시키고 투명경영의 실천의지를 높이고 있다.

지난 4월부터 윤리경영 요구 수준에 맞춰 투명하고 적법한 정도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공정거래 전담부서인 컴플라이언스팀도 신설해 운영중이다. 

녹십자도 보험약가제도의 합리적 방안 검토와 투명한 의약품 유통질서 확립,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및 글로벌 진출 지원 등 12개 중점 추진사업을 확정한 바 있다.

한미약품은 2007년 6월 26일 CP(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를 도입해 운영해왔다.

제약협회는 이번 조사에 포함되지않은 회원사들의 윤리경영 동참 사례가 보고되는대로 확인하고 추가 발표할 예정이다.

또 보고된 회사들의 윤리강령 실천을 위한 내규의 유무와 자율준수관리자 활동실적 등을 지속적이고 구체적으로 조사키로 했다.

이와 함께 제약협회는 10월께 각 회원사별 자율준수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윤리경영 교육을 실시하는 등 각 사의 불법 리베이트 추방 등 윤리강령 실천도 독려할 예정이다.

이경호 제약협회장은 1일 중국 난징에서 개막하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윤리경영포럼 회의에 참석해 국내 제약산업계의 윤리경영 정착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도 소개하고 참여 국가 대표들과 의견도 교환했다.

이 회장은 "윤리경영 정착은 지속가능한 산업발전의 필수요소로 소비자는 물론 산업 자체를 위해서도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실천노력이 요구된다"며 "산업관련 협회가 기업의 윤리경영 운영 현황을 수시로 점검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강화해나가야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