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방공식별구역, 시진핑 주석이 결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2-01 16:3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지난해 18차 당대회 당시 연설 중인 시진핑 주석의 모습. [중국=신화사]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설정의 배경에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중국 펑황왕(鳳凰網)은 홍콩 주간지 아주주간(亞洲週刊) 최신 보도를 인용해 시 주석이 취임한 후 지도부의 인식전환이 방공식별구역 설정을 이끌었다고 1일 보도했다. 

지난해 11월 중국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18차 당대회) 이후 방공식별구역 설정에 힘이 쏠렸으며 지난 8월 시진핑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설정을 사실상 결정, 이번 3중전회를 통해 승인했다는 것. 

이에 중국 방공식별구역 배경이 단순히 영토분쟁 중인 일본을 견제하기 위한 것일 뿐 아니라 중국 안보에 대한 지도층의 인식전환이 있다는 주장이 함께 제기됐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국의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아시아 전문가 팀의 발언을 인용해 "방공식별구역 문제를 중국과 일본의 단순 힘겨루기로 보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라며 "이는 중국 신지도부가 역내안보문제에 대해 새 틀을 마련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데이비드 추이 광저우(廣州) 중산(中山)대 교수는 "중국 지도부가 국가안보 및 영유권 수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면서 "이는 미국의 '아시아 중시' 외교전략에 대항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위안징둥(袁勁東) 시드니대 교수는 "중국이 이제 자국의 이익과 관련된 문제를 확실히 지적하고 있다"면서 "지난 20년 넘게 지속해왔던  덩샤오핑(鄧小平) 주석의 '도광양회'(韜光養晦· 빛을 감추고 어둠 속에서 조용히 힘을 키운다) 정책을 변화시킬 시점이 왔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말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 열도)와 한국의 이어도가 포함된 방공식별구역을 발표해 주변국의 반발을 산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