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불조심, 이건 제가 할게요. 느낌 아니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1-01 10: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군포소방서 재난안전과 소방사 조은경 
 
(사진=군포소방서 조은경 소방사)

아침 저녁으로 제법 쌀쌀한 날씨에 가을의 낭만을 즐길 겨를도 없이 화재 다발기인 겨울이 성큼 다가왔다. 부쩍 추워진 날씨에 요즘 언론매체에선 전기장판 등 난방기구 화재사고를 연이어 다루고 있고, 소방관서에서는 각종 캠페인 및 예방 홍보 등 겨울철 화재 예방대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불청객인 화재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우리 주변에 찾아와 많은 재산피해와 소중한 생명을 빼앗아 가고 있어 불조심에 대한 작은 관심과 주의가 당부된다.
 
‘자나 깨나 불조심’이라는 말이 있다. 우리들은 어릴 때부터 가정이나 학교에서 불조심을 해야 한다는 교육을 받아왔다. 그러나 실천을 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불로 인한 크고 작은 화재사건들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로인해 우리의 생활 공간이 불타 없어지고 소중한 가족과 이웃, 친구를 잃을 수 있으며, 산불로 인해 자연이 훼손되고 화재 연기에 의해 대기를 오염시킨다. 그렇다면 좋은 것 하나 없는 화재와 이를 예방하는 작은 관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첫째는 전기화재를 예방하는 방법이다. 겨울철 난방 등 전기기구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화재가 빈번히 발생하는데 과열, 합선, 누전 등이 원인이며, 예방 요령은 한 콘센트에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꽃아 사용하는 문어발식 사용을 하지 않고, 각종 전기기구 사용 후에는 반드시 플러그를 뽑아야 하며, 전기장판 등 발열체를 장시간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다. 또한 전선 등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는 것이 좋다.
 
둘째는 가스화재 예방이다. 소방서 출동의 상당수가 음식물 취급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는데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중에는 절대 자리를 비우는 일이 없어야 하겠다. 또한 조리기구 주변에는 가연물을 놓지 말아야 하고, 가스 사용 전, 후에는 환기를 꼭 시키는 것이 좋다.
 
마지막 불조심은 담뱃불이다. 통계로 볼 때 전체 화재건수의 20%정도가 담뱃불로 인해 발생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원인으로는 술에 취한 채 잠자리에서 흡연하다 발생하는 경우, 불씨를 완전히 끄지 않은 채 버려서 발화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방은 누구나 다 아는 상식이지만 흡연은 꼭 지정된 장소에서 하고 특히 가정이나 음식점, 노래방 등에서는 반드시 재떨이에 버리는 등 공중질서와 안전의식을 갖아야 하겠다.
 
통계적으로 보면 화재가 일어날 확률은 40만분의 1이라고 한다. 평생에 한 번 일어날까 하는 수치이지만 요즘 소방서를 보면 날씨가 추워짐에 따라 각종 사건사고들이 많아져 매일 소방관들은 출동벨 소리에 잠 못 드는 밤을 보내고 있다.
 
요즘 유행어를 빗대어 “불조심, 이건 제가 할게요. 느낌 아니깐!”처럼 11월이 되면 누가 강조하지 않아도 국민들 스스로 화재예방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미리미리 준비하여 슬기롭게 대처해 안전사고 없는 겨울을 나지 않을까 기대해보며 우리 모두 불조심을 생활화하기 바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