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송지영 기자=한 어린이의 아동기 때 공간인지 능력이 향후 성인이 됐을 때 창조성과 학문적 성취도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미국심리과학학회는 16일(현지시간) 학술지 ‘심리과학(Psychological Science)을 통해, 13살 때 습득한 공간인지 능력을 보면 향후 30년간의 창조성과 학문적 성취도를 미리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내용은 미국 밴더빌트대학의 데이비드 루빈스키 교수팀이 발표했다. 공간인지 능력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등의 분야에서의 창조성과 혁신능력을 예측할 수 있으며, 기존의 수학 또는 언어적 능력을 통한 측정 방법보다 탁월하다고 주장했다.
루빈스키 교수팀은 1970년대 이뤄졌던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국의 대학입학자격시험(SAT)에서 당시 상위 0.5%에 속한 학생 563명의 성장특성을 30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좋은 점수를 얻었던 이 학생들이 30년 뒤 이공계열 분야에서 탁월한 창조성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아직은 공간인지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정밀한 방법은 개발되지 못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