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정보보안산업은 전년대비 14.2%인 1조7000억원이 성장했고 물리보안산업은 전년대비 9.2%인 4조2000억원 성장했다.
정보보안산업에서는 네트워크보안이 4387억원, 콘텐츠.정보유출방지 제품이 3067억원으로 매출이 높았고 성장률은 교육훈련이 23.6%, 보안컨설팅이 19.9%로 서비스 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최근 개인정보 유출사고 등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유출방지 제품, 보안관리 제품 등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보안에 대한 공격유형이 지능화, 고도화, 복잡.다양화되고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보안 컨설팅 및 교육훈련 서비스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물리보안산업에서는 출동경비가 1조1325억원, 카메라가 8450억원으로 높은 매출을 보였고 바이오인식이 24%, 알람·모니터링 제품이 19%로 성장률이 높았다.
올 한 해 물리보안 제품에서는 네트워크화, 차량용 블랙박스, 가정 및 유아 안심서비스 등 신규 서비스가 주요 이슈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물리보안산업의 향후 매출은 2016년까지 연평균 14.3% 성장해 10조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보·물리보안산업 수출액은 전년대비 14.4% 증가한 1조 4000억원으로 조사됐고 이 중 정보보안산업은 8.9%인 490억원, 물리보안산업은 14.6%인 1조3000억원이 늘었다.
정보보안산업은 시스템보안, 유출방지 제품의 수출액이 높고 성장률은 보안관제 서비스, 유지보수 서비스가 높았으며, 물리보안산업은 카메라, DVR 제품의 수출액이 높고, 성장률은 바이오인식, IP영상장치가 높았다.
권역별 수출비중은 정보보안산업의 경우 50% 이상이 일본에, 물리보안산업은 50% 이상이 유럽, 북미에 편중돼 있어 수출구조의 다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정보·물리보안산업의 공통적인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기술개발 인력 확보·유지와 자금조달 등으로 조사됐고 지식정보보안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 정책으로 경기활성화, 기술개발 연구 지원 및 전문 인력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