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 몸 안 따라주는 與, 머리 안 따라주는 野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4-01 18:4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4·11 총선이 불과 열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선거에 임하는 여야의 고민거리가 상이하다.
 
새누리당은 맞춤형 공천과 구도 설정, 당 분위기 쇄신 등 전반적인 선거 전략은 잘 세웠으나, 그 전략을 실천해 줄 개별 후보자들의 역량부족으로 모처럼 맞은 기회를 살리지 못하는 분위기다.
 
민주통합당은 후보 선출 과정서 온갖 고초를 치른 데다 두뇌 싸움에서 새누리당에 밀리며 지지율이 급락하는 등 위기에 몰렸다. 하지만 선명성 경쟁에서 앞섰고 야권 지도부의 전방위 지원 등 활발한 퍼포먼스로 반전을 꾀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리서치앤리서치(R&R)가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27.4%의 정당지지율을 얻어 민주통합당(28.7%)에 소폭 뒤졌다. 새누리당이 민주통합당에 뒤진 것은 지난 3월 초순 이후 한달 만에 처음이다.
 
새누리당은 총선을 앞두고 탈당파를 최소화하고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을 중심으로 조직체제를 꾸리는 한편 강력한 쇄신의지를 보여주며 3월 들어 2주 연속 지지율이 올랐고, 지지도도 40%대를 회복했다.
 
특히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을 겨냥해 27세의 여성 정치신인을 공천하는가 하면 FTA 반대파 정동영 상임고문이 강남을 출마를 선언하자 FTA의 전도사 김종훈 후보를 대항마로 띄우는 등 수싸움에서도 앞섰다는 평가다.
 
또 북한인권 문제와 천안함 2주기, 김정은 체제 안정화 과정서 드러난 북한 리스크 부각, 핵안보 정상회의 등 안보 이슈를 들고나와 보수 결집에 성공하는 한편 야권을 당황케 했다.
 
하지만 손수조 후보의 경우 3차례나 선거법 위반 논란에 시달리며 결국 120만원의 과태료를 물게 됐고, 문대성 후보는 석·박사 논문표절 의혹을, 김종훈 후보는 '구멍가게' 발언 논란을 빚으며 오히려 정당 지지율을 까먹는 결과를 낳았다.
 
새누리당 지도부가 선거전략을 정교하게 잘 짜왔으나, 막상 그판에서 뛰어줄 선수들이 정치신인이란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역량 부족을 드러낸 셈이다.
 
반면 민주통합당은 선거초반부터 공천을 둘러싼 당 지도부내 마찰로 선거전략을 세우지 못한 것은 물론 오히려 새누리당의 '색깔론' 공세에 지지율이 급감했다.
 
정략적 이슈로 활용할 수 있었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제주 해군기지 건설 문제 등 현안을 잘못 활용했고, 대세론에 취해 총선 대처를 철저히 하지 못한 점도 안일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민주통합당 박선숙 선거대책총괄본부장이 최근 "3개월새 30석 가량을 잃었다"고 말한 것이 엄살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민주통합당은 하지만 개별 후보의 '전투력'으로 최근 격전지를 중심으로 지지율을 점차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민간인 불법사찰로 재점화한 정권심판론을 무기로 지역구 후보의 '야성(野性)'이 유권자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다.
 
민주통합당 관계자들은 2619건의 불법사찰 문건 폭로 파문이 4월 초까지 이어지며‘정권심판론’ 공방이 지지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