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의 곤충·나무 ‘암끝검은표범나비’,‘참식나무’ 선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2-01 15: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왼쪽부터 참식나무, 암끝검은표범나비, 사철란.<사진제공=국립수목원>

(아주경제 임봉재 기자)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12월의 곤충으로 ‘암끝검은표범나비’를, 나무로 ‘참식나무’를 각각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암끝검은표범나비’는 네발나비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석주명 선생에 의해 한국명이 붙여졌으며, 북한명은 ‘암끝검정표문나비’이다.

암컷은 날개 윗면 앞날개끝 쪽으로 절반가량이 자흑색이고 그 가운데에 흰 띠가 있어, 수컷과 구별된다.

봄형은 3~5월, 여름형은 6~11월에 나타나며, 가을에는 서해안 도서 등 중북부지방에서도 볼 수 있다.

1령 유충 상태로 월동하는데, 추위에 약해 제주도나 남부 해안지대에서 생존이 가능하다.

먹이식물은 제비꽃과의 식물로 알려져 있다.

‘참식나무’는 남해안 상록수림대를 구성하는 중요한 나무 중 하나이다.

바람에 견디는 힘이 좋아 바닷바람을 막기 위한 방풍림으로 많이 이용된다.

어린잎은 황갈색 털이 밀생하지만 곧 없어지고 묵은 잎은 아래로 처져 마치 왕관을 쓴 모양이다. 잎 뒷면은 흰색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노란색으로 피고, 열매는 빨갛게 익으며 향기가 좋아 향수재료로 쓰인다.

주로 남해안 해안가에서 자라고, 울릉도·제주도에서도 볼 수 있다.

전남 영광 불갑면 참식나무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112호로 지정돼 보호하고 있다.

참식나무는 단단하고 향기가 있어 건축자재로 주로 쓰인다.

또 국립수목원은 12월의 풀로 ‘사철란’을 선정했다.

‘사철란’은 늘푸른 여러해살이풀로, 난초과 식물이다.

한국 남부지역과 울릉도지역의 숲속에 주로 자란다.

꽃은 8~9월에 7~15개 정도가 한쪽으로 치우쳐 달리고, 백색바탕에 붉은빛을 띤다.

관상가치가 높아 원예용으로 많이 이용되며, 중국과 일본에서는 관절통, 기관지염에 뿌리는 강장제로도 쓰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