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재성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28일 한국경영자총협회 주최 포럼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5월 중 부실 저축은행 매각 작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영업정지 조치를 당한 7개 저축은행에 대해 실사를 진행 중이며, 회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매각을 추진할 방침이다.
주 부원장은 “지난번 삼화저축은행과 마찬가지로 자산·부채 인수(P&A) 방식으로 이뤄질 것”이라며 “가능하면 우량한 금융자본에 넘기는 게 좋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정부의 가계부채 종합대책과 관련해서는 “5월 말까지 전반적인 대책이 발표될 것”이라며 “원리금 분할상환 대출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가계대출의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이 포함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은행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을 처리하기 위한 배드뱅크 설립에 대해서는 “은행들이 안 할 것 같지는 않다”며 “유암코와 별도로 만들지, 유암코에 포함시킬지 등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들이 PF 배드뱅크에 한꺼번에 출자하는 게 아니라 캐피탈 콜(출자 한도) 등의 형태로 약정하고 출자금을 바탕으로 차입도 할 수 있어 부담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