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내수비중 감소 속도 OECD 중 '최고'

우리나라 경제에서 내수가 차지하는 비중의 감소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빠르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로 인한 경기 변동폭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6일 발표한 '내수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제에서 소비와 투자 등 내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2000년 86.5%에서 지난해 79.9%로 하락했다.
 
이는 같은 기간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다른 회원국의 내수비중은 2000년 평균 78.8%에서 2008년 79.3%로 오히려 늘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내수비중이 크게 감소한 이유를 외환위기 이후 내수 부문의 성장이 부진했던 반면 수출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문제는 내수가 위축되고 수출의존도는 높아지면서 국내 경제의 변동성이 커진데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 1990∼1997년 국내 경제의 경기변동성은 2.0% 수준이었으나 2000년에서 올 1분기까지의 변동성은 평균 2.9%로, 1.5배나 증가했다.

국내 경제가 대내외 경제변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했다는 반증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국내 경제의 대외의존도가 커지면서 대외변수에 취약한 구조로 바뀌었다는 것.

이에 따라 경제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내수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주장했다. 

우선 수출과 내수의 선순환구조를 복원하고,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면서 가계 소비여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경기확장적 정책을 유지하면서 기업 투자를 유인할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세금부담을 줄이고 고용시장을 안정시켜 소비력을 높이는 한편 건설 경기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상의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경제가 성장할수록 내수비중이 확대되는 추세이지만 우리나라는 반대"라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내수가 확대돼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서비스산업 육성, 부품소재산업 육성, 소비여건 개선 등 실질적인 조치와 함께 경제 주체가 미래에 대해 불안감을 갖지 않도록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