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형 산업구조 설계 경쟁력 향상"

저탄소 녹색성장은 지난 2월 16일 출범한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의 주도아래 범 정부적으로 추진되는 정책이다. 이 가운데 산업 및 기업활동 전 과정의 녹색전환은 산업정책의 주무부처인 지식경제부가 설정한 세부 업무 중 하나다.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최근 탄소배출 감축 규제에 있어 기업들이 소극적으로 대응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 에너지 다소비산업구조로 돼 있고 교토 체제에서 의무감축국이 아니었던 관계로 산업계가 탄소감축에 있어 방만했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지경부는 기업의 녹색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원료조달-기획-생산-소비-재자원화의 가치사슬 전 과정을 녹색화 하기로 했다.

PC와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등 IT기기는 에너지 소비가 많다. 지경부는 이들 IT기기의 에너지 고효율화와 친환경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키로 했다. 연내 77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PC, 발광다이오드(LED)용 고효율 파워서플라이, 저전력 통신네트워크 등의 기술개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IT융합 u-산업단지 조성, 전자문서 활성화, 그린IT 테스트베드 구축 등 IT를 활용해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고 친환경화 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온실가스 배출량과 신재생에너지, 그린카, 차세대무선통신 등의 표준을 개발하는 등 녹색표준을 정립시킬 예정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을 요구하는 그린파트너십도 확대된다. 대기업의 환경경영 노하우를 중소기업 협력사에 지원해 제품의 환경경쟁력을 높이는 것으로 대기업은 고품질 원료로 친환경제품을 개발, 녹색구매시스템을 구축하고 협력사는 청정 생산공정을 구축, 고품질 제품 개발 능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린파트너십 사업은 강화되는 국제환경규제에 중소기업이 인력 및 자본 등 대응여력이 부족한 점을 지원하기 위해 지경부가 2003년부터 실시해 왔다.

유럽연합(EU)의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나 'EuP(Energy-Using Products) 대기전력 규제안'에서 보듯 환경규제는 이미 수출규제로 강화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다배출 제품에 대한 규제를 통해 무역장벽으로 진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

우리 기업도 국제환경규제 대응에 나섰다.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녹색 이득까지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중공업의 경우 양력의 원리를 선박에 적용했다. 프로펠러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회전류를 추진력으로 활용해 연료의 약 4~6%를 절감했다. 하루 300t 이상의 연료를 소비하는 대형컨테이너선은 연간 약 240만 달러를 아끼게 된다.

대우조선해양은 선박의 프로펠러 앞부분에 전류 고정날개를 부착해 물의 흐름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을 통해 약 5%의 연료절감 효과를 누리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파도와 바람 등 기상환경 정보를 인공위성과 실시간 교환해 해역특성에 맞는 최적항로를 계획하고 평가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11만3000t급 원유운반선에 이를 적용한 결과 도쿄~LA간 운항시간을 3시간 단축시켰다. 연료소모도 15t 절감되는 효과를 보였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