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내주 조건없는 등원을 천명할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한나라당 내 일각에서는 비정규직법과 미디어법 등 주요 쟁점법안의 처리를 저지하기 위한 카드가 아니냐는 `경계론'도 나오고 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민주당이 민생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등원하는 것은 환영한다"면서도 "(민주당의 등원 결정이) 미디어법이나 비정규직법을 저지하려는 것이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장광근 사무총장도 "민주당 내에서 등원 주장이 나오는 부분에 대해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면서 "국회의원이 국회로 들어오는 것은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등원이 순수한 의도이길 바란다"면서 "행여나 미디어법 등 쟁점법안을 저지하기 위한 전술 변화의 일환이라면 용서받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진수희 여의도연구소장은 "민주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추구했던 `서민가치'를 국회에 들어와서 민생법안을 처리하며 실행에 옮겨야 한다"며 "그것이 노 전 대통령의 유지를 진정하게 받드는 길"이라고 다잡았다.
윤상현 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민주당이 국회 파업을 한 지 5개월째에 접어들고 있다"면서 "민주당은 국민의 따가운 눈총을 지금이라도 느낀다면 즉각 조건없는 등원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전여옥 의원은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길거리 시위현장에서 `노숙정치'에 매몰된 민주당 의원들은 `그 어느 시절도 없었던 MB독재'라는 말을 되풀이한다"며 "불법시위와 집회에 온나라가 흔들린 지난 10년의 `사이비 민주주의'를 그리워하는 모양"이라고 민주당의 `장외정치'를 비판했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