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의 체감경기가 정부의 재정정책과 환율 안정 등으로 3개월 연속 호전됐다.
한국은행이 2193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 29일 발표한 '5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의 5월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74로 전달 대비 5포인트 상승했다. 석 달 연속 오르며 지난해 8월(75) 이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업황 BSI가 100 미만이면 경기를 나쁘게 보는 기업이 좋게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의미이며 100 이상이면 그 반대다.
다음달 업황을 예상하는 전망 BSI도 전달 대비 5포인트 오른 76을 기록했다.
한은은 정부가 노후차에 대해 세금감면을 해주며 자동차 판매가 늘었고 환율하락으로 석유정제업의 채무부담이 감소하는 등 일부 업종의 업황이 개선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지수는 아직도 기준치(100)를 크게 밑돌고 상승폭도 3월(14포인트), 4월(12포인트)의 절반도 안 돼 경기회복을 낙관하기는 이른 것으로 파악된다.
한은 관계자는 "환율 하락으로 외화표시 부채가 많은 기업이 좋게 평가할 계기가 된 것 같지만 상승폭이 전월의 절반 수준이어서 전망하는 데 신중해진 것 같다"며 "업황 BSI가 앞으로 오를 전망이지만 돌발 악재가 생기면 소폭이나마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대기업의 업황 BSI는 82로 전월보다 8포인트 상승했고 중소기업은 70으로 5포인트 상승했다. 수출기업은 8포인트 상승한 82를 기록했으며 내수기업은 69로 4포인트 올랐다.
매출 BSI는 81, 가동률 BSI는 78로 5포인트, 3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5월 중 제조업체들이 느끼는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불확실한 경제 상황(24.7%)과 내수부진(24.0%)이 주로 꼽혔다.
비제조업의 5월 업황 BSI는 74로 3포인트 상승했다.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