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홈크레딧과 벤테니, 인도네시아 금융 혁신의 시작 인도네시아 소비자금융회사 홈크레딧 인도네시아가 현지 복리후생 아웃소싱 업체 벤테니 포추너 인터내셔널과 전략적 제휴 관계를 체결했다. 이번 제휴로 벤테니 서비스를 이용하는 약 500개 기업의 종업원 30만 명 이상이 홈크레딧의 POS(점포할부판매) 금융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양사는 지난달 24일 업무 제휴 계약을 맺었다. POS 금융은 이용자가 가전·가구 등 제품 구매 시 현장에서 대출을 신청하고 심사를 거쳐 구매 비용을 분할 상환하는 방식의 금융 서비스다. 홈크레딧 인도네시아는 약 2만 개의 가맹점을 보유하 2025-11-17 16:47 -
[NNA] 베트남 북부, 이슬비로 제습 가전 판매 급증 베트남 북부 지역에 11월 초부터 이례적으로 이슬비가 이어지면서 의류건조기와 제습기 판매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해당 지역은 통상 2~3월이 습기가 높은 시기이나 올해는 몇 달 앞당겨지며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매체 타인니엔(온라인)은 IT 기기 및 가전 판매업체 ‘GIGA.vn’의 응우옌 민 떤 사장을 인용해 “11월 초부터 제습기와 의류건조기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전했다. 그는 “소비자들이 기상 변화에 즉각 반응하며 망설임 없이 구매를 결정하고 2025-11-17 16:36 -
[NNA] 홍콩 법무장관, 보통선거 '중앙' 신뢰가 관건 폴 람(林定國) 홍콩 정부 법무장관이 향후 보통선거 도입 목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히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신뢰 확보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우선 현행 제도 아래에서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투표에 참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람 장관은 12일 정부와 변호사 단체가 공동 주최한 입법회(의회) 선거 관련 좌담회에서 이 같이 발언했다. 해당 내용은 이후 본인의 페이스북에도 게시됐다. 다음 입법회 선거는 12월 7일로 예정돼 있으며, 정부는 지난 선거에서 낮았던 투표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025-11-17 16:21 -
[NNA] 요시노야, 상하이에 라멘 1호점 개점 일본의 규동(소고기덮밥) 체인점 요시노야(吉野家)를 운영하는 요시노야홀딩스가 중국 상하이에서 라멘 브랜드 '키라메키노토리(중국명: 煌面ノ屋)'의 해외 1호점을 오픈, 라멘 사업을 중국 본토에서 재개했다. 요시노야홀딩스는 라멘을 규동, 우동에 이은 세 번째 핵심사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해외 1호점은 그룹사 '키라메키노미라이'를 통해 출점했으며, 상하이의 번화가 난징둥루(南京東路)의 상업시설에 오픈했다. 좌석은 23석 규모로 1인 고객부터 가족 단위까지 다양한 수요를 겨냥했다. 영업시간은 오 2025-11-17 15:47 -
[NNA] 日 플레어, 태국 DDash 서비스 확장 위해 2억 엔 조달 일본 IT기업 플레어는 태국에서 운영 중인 운전기사 호출 서비스 'DDash(디대시)' 확대를 위해 총 2억 엔 규모의 자금 조달을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주주인 CARTA 벤처스와 신규 투자자인 스테이션 Ai 센트럴재팬 1호 투자사업 유한책임조합 등이 참여했다. 조달한 자금은 태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 사업 개발과 영업력 강화, 그리고 시너지가 가능한 기업 인수·합병(M&A)에 투입될 예정이다. DDash 서비스는 플레어 자회사인 드라이브Z(DriveZ)가 운영하며, 2024년 출범 이후 현재 70개사 이상 2025-11-17 14:22 -
[NNA] 싱가포르, 지속가능항공유 공장 건설 착수 싱가포르 에너지 인프라 솔루션 기업 아스터 케미컬 앤드 에너지가 환경기술기업 이서 퓨얼과 협력해, 싱가포르 내 첫 ‘차세대 지속가능항공유(SAF)’ 생산공장을 짓는다. 양사는 2026년 착공해 2028년 가동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공장은 싱가포르 남부 해역의 부콤섬에 건설되며, 연간 생산량은 2,000톤 규모다. 이곳에서 생산될 차세대 SAF는 기존 제트연료 대비 온실가스 배출을 70% 이상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풍 총 분 싱가포르 경제개발청장은 이번 공장이 “지속가능 제품 생산거점으로 싱가 2025-11-17 14:04 -
[NNA] 日 100시간카레, 印尼 첫 매장 오픈 일본 커리 전문점 '100시간카레'가 인도네시아에서 첫 매장을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오픈했다. 운영사인 아쿠스는 12일, 인도네시아 1호점의 그랜드오픈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아쿠스는 인도네시아 1호점에서 "일본 본연의 맛을 유지하면서도 현지 식문화에 맞춘 메뉴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대표 메뉴인 'OMELETTE CHICKEN KATSU CURRY' 레귤러 사이즈 가격은 세전 9만9,000루피아(약 916엔)로 책정됐다. 아쿠스는 지난해 12월 필리핀에 해외 1호점을 출점했으며, 올해 7월에는 필리 2025-11-17 11:48 -
[NNA] CMC그룹, 호찌민에 AI 혁신 도시 제안 베트남 ICT 대기업 CMC그룹이 호찌민시 깐저우 지역에 100~200헥타르 규모의 과학기술 혁신 도시 개발을 시 공산당위원회에 제안했다. 호찌민시를 세계적 인공지능(AI) 서비스 중심지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타인니엔(온라인)이 보도했다. CMC가 제안한 도시 개발 사업은 총 10조~20조 동(약 586억~1,170억 엔) 규모다. 연구개발(R&D) 구역, 데이터센터,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디지털 기술 개발 구역, 연수 시설, 오피스, 주거시설을 포함한 집중형 IT 단지를 조성한다. 아울러 CMC대학 분교 설립을 위해 10~20헥타르의 2025-11-17 11:33 -
[NNA] 홍콩거래소, 신청결산홀딩스에 4억 5,500만 HK달러 출자 홍콩거래소(HKEX)가 홍콩 금융관리국(HKMA)의 채권결제시스템(CMU)을 운영하는 ‘신청결산홀딩스(CMU 옴니 클리어 홀딩스)’ 지주사에 최대 4억 5,500만 HK달러(약 90억 6,000만 엔)를 출자한다. 이를 위해 신청결산홀딩스가 발행하는 신주를 인수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출자로 신청결산홀딩스는 금융관리국이 지분 80%, 홍콩거래소가 20%를 보유하는 공동출자회사 형태가 된다. 양 기관은 자원, 기술, 인력, 시장 관련 전문성을 결집해 ‘증권 포스트트레이드’로 불리는 약정 이후 업무 인프라 구축을 가속할 2025-11-17 11:04 -
[NNA] 세계 최초 로봇 점원, 선전에서 만나다 중국 선전(深圳)에서 세계 최초로 휴머노이드 로봇이 판매원 역할을 겸하는 매장이 문을 열었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업체인 ENGINEAI(众擎机器人)는 11일 선전시 내에 전시, 체험, 판매, AS 기능을 모두 갖춘 휴머노이드 로봇 전문 플래그십 스토어를 개설했다고 밝혔다. 해당 매장은 생활가전 등 일반 소비재를 판매하는 소매점과 결합한 형태로, 로봇이 실제 매장 직원처럼 고객을 응대하는 것이 특징이다. 선전특구보(深圳特区報)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점원으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는 이번이 세계 최초라고 전했다. 2025-11-14 16:43 -
[NNA] 3Q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 출하량 8.1% 증가 올해 3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패널 출하량이 2분기보다 8.1% 증가한 5억 8,600만 장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스마트폰 브랜드의 신제품 출시를 앞둔 패널 조달 확대가 출하 증가로 이어졌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集邦科技)가 10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로도 5.3% 증가했다. 패널 종류별로는 AMOLED 패널이 전분기 대비 9.9% 늘어난 2억 4,600만 장, LCD 패널은 6.9% 증가한 3억 4,000만 장이었다. 업체별 출하량에서는 중국 BOE(京東方科技集団)가 1.3% 증가한 2025-11-14 15:49 -
[NNA] 태국 SSP, 일본서 다섯 번째 태양광 발전소 운영 태국 재생에너지 발전 기업 SSP(Sermsang Power Corporation)가 일본 시즈오카(静岡)현에서 두 번째로 추진해온 태양광 발전소 ‘Leo2’가 4일 상업 운전을 개시했다. SSP가 일본에서 운영하는 태양광 발전소는 이로써 총 5곳이 됐다. SSP가 태국증권거래소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Leo2의 설비용량은 2만 2,000킬로와트, 계약용량은 1만 6,400킬로와트다. 판매 단가는 1킬로와트시당 36엔이며, 도쿄전력과 2040년 3월까지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한 상태다. ‘Leo1’(설비용량 2만 6,000킬로와트)은 2021년 2025-11-14 15:20 -
[NNA] JOGMEC, 말레이시아 사라왁주 지질 조사 착수 일본 국영 에너지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가 말레이시아 사라왁주에서 처음으로 지질 구조 조사를 실시한다. JOGMEC는 11일, 사라왁주 주정부 산하 석유가스 기업인 페트로스(Petros)와 공동 조사 계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JOGMEC는 7일 페트로스와 석유 및 천연가스 분야 공동 조사 계약을 맺었으며, 양측은 이를 토대로 석유 및 가스 자원 집적이 기대되는 사라왁주 무카·바링기안 지역에서 조사 대상 지역 선정과 조사 내용 검토를 진행한다. 이후 지진 탐사 데이터를 수집해 자원 잠재력을 평 2025-11-14 14:53 -
[NNA] 라오스, 올해 GDP 4.8% 전망 라오스 정부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4.8%로 전망했다. 손싸이 시판돈 라오스 총리는 10일 열린 정기 국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2021~2025년 평균 성장률은 4.24%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손싸이 총리는 지난 21~25년 동안의 경제 성장이 식품 생산, 전력 및 광업, 제조업, 운송, 관광업 등에 의해 뒷받침됐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산업별 성장률과 GDP 기여도는 제조업이 4.7%, 32.5%, 서비스업이 4.5%, 36.6%, 농업이 2.9%, 19.4%였다. 제조업과 농업은 성장률과 기여도 모두 목표치를 달성했으나, 서비스업은 각각 1.5% 2025-11-14 14:08 -
[NNA] 브레이브그룹과 카카오, 글로벌 IP 시장 공략 지적재산(IP) 사업을 전개하는 일본 브레이브그룹이 카카오와 자본 및 업무 제휴 관계를 체결했다. 브레이브그룹은 카카오의 투자 전문 자회사인 카카오인베스트먼트를 통해 카카오와 자본 업무 제휴 관계를 맺었다고 11일 밝혔다. 브레이브그룹은 버추얼 유튜버(V튜버) 사업을 비롯해 IP 플랫폼과 IP 솔루션 등 다양한 IP 관련 사업을 국내외에서 운영하고 있다. 카카오는 무료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웹툰 플랫폼 '카카오페이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멜론' 등 여러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을 보유 2025-11-14 13:10 -
[NNA] 돗판홀딩스, 인도에서 하이브리드 필름 생산 일본 종합인쇄회사 돗판홀딩스(TOPPAN HD) 그룹의 인도 법인 'TOPPAN 스페셜티 필름즈'가 두 종류의 필름을 한 설비에서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제조라인을 가동하며 인도 내 생산능력 확대에 나섰다. 돗판홀딩스는 인도 북부 펀자브주 공장에서 동 라인이 본격 가동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설비는 지속가능 포장재의 기초 소재로 사용되는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BOPP)과 이축연신 폴리에틸렌(BOPE) 필름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돗판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라인 도입으로 인도 법인의 연간 생산능력은 기존 2025-11-14 12:44 -
[NNA] 印尼 시장 공략, 교세라의 솔루션센터 개소 교세라가 인도네시아 서자바주 브카시에 절삭공구 기술 지원 강화를 위한 솔루션센터를 열고 현지 제조업 수요 확대에 나섰다. 교세라는 10일 센터 개소식을 열고, 절삭공구의 사용법 등을 실제 보여줄 수 있는 시설을 통해 현지 제조업체들이 안고 있는 가공 기술 과제 해결에 힘을 쏟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세라는 4륜·2륜 관련 업계뿐 아니라 의료, 철도 등 다양한 산업으로 대응력을 넓혀 향후 5년 내 인도네시아 절삭공구 사업 매출을 두 배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미 여러 기관으로부터 제품 테스트 절삭( 2025-11-14 12:03 -
[NNA] REE, 에너지 자회사 자본금 10조 동으로 확대 베트남의 전기냉장엔지니어링(REE)이 에너지 부문 자회사의 자본 확충에 나섰다. REE 이사회는 최근 에너지 자회사인 REE에너지의 정관상 자본금을 10조 5,000억 동으로 늘리는 증자 계획을 승인했다. 현지 매체 토이바오타이친이 보도했다. 이번 증자를 통해 REE에너지의 자본금은 기존 7조 2,480억 동에서 확대된다. 증가분은 모회사 REE가 전액 보유하며, 핵심 사업의 재무 기반 강화에 투입될 예정이다. REE에너지는 현재 수력, 화력, 풍력, 태양광 등 다양한 전력원을 운영하고 있다. 탁바, 빈선-선힌, 탁모 등 13곳의 대형 2025-11-14 1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