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 (28일) 7.0856위안...가치 0.04% 상승 28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25위안 내린 7.0856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4%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2622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6459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4611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201.77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10-28 10:22 -
美 석학 "트럼프-시진핑 부산회담, 우호적일 것...양국 모두 갈등 악화 원치 않아"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을 대표하는 석학인 존 미어샤이머 미국 시카고대 석좌교수가 오는 30일 부산에서 열릴 예정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에 대해 "매우 우호적인 회담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어샤이머 교수는 27일 공개된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의 인터뷰에서 이달 말 한국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 전망을 묻는 말에 이같이 밝혔다. 그는 그 이유로 크게 두 가지를 꼽았다. 우선 미국의 입장 2025-10-27 16:21 -
中, 제조업 경기 개선 조짐…공업이익 2개월 연속 20%대 '깜짝 증가' 중국 제조업 기업들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공업이익이 2개월 연속 20%대의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미·중 관세전쟁에도 중국 정부의 '출혈경쟁' 단속 정책이 효과를 낸 덕분이다. 지난해 업황이 부진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도 한몫했다. 27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9월 공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1.6%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3년 11월 이후 약 2년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지난 5월부터 3개월 연속 뒷걸음질치던 공업이익은 전달(20.4%)부터 뚜렷한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공업이익은 연 매출 20 2025-10-27 15:21 -
[종합] 미·중, 확전은 피했다…정상회담 앞두고 사전 합의 틀 마련 미국과 중국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제5차 고위급 무역회담에서 희토류 등 핵심 쟁점에 대해 이견을 어느 정도 좁히면서 미·중 관세전쟁 확전을 피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오는 30일 한국에서 예정된 미·중 정상회담 이후 발표될 구체적인 합의 내용에도 관심이 쏠린다. 26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말레이시아에서 진행된 고위급 회담과 관련해 "양국이 함께 관심을 가진 중요 경제·무역 문제에 관해 솔직하고 심도 있으며 건설성이 풍부한 교류·협상을 했다"며 &qu 2025-10-27 13:44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 (27일) 7.0881위안...가치 0.07% 상승 27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47위안 내린 7.0881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7%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2546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6382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4563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202.14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10-27 10:21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4일) 7.0928위안...가치 0.01% 하락 24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10위안 올린 7.092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1%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2486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6595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4672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201.89원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10-24 10:18 -
[종합] 中 4중전회 폐막…'질적성장·기술자립 초점' 15차5개년 계획 논의 23일 폐막한 중국 공산당 20기 중앙위원회 4차 전체회의(4중전회)’에서 중국 지도부는 고품질 발전(高質量發展, 질적 성장)과 기술 자립을 향후 5년간 발전 전략의 우선순위로 삼았다. 미·중간 패권 전쟁으로 그 어느 때보다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중국 지도부가 5년, 10년 후를 내다보고 장기적으로 질적 성장, 기술 자립, 내수 진작 등에 의존해 중국을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내비친 것이다. 실제 이날 4중전회 폐막후 발표된 5000자 남짓의 공보에는 '고 2025-10-23 20:24 -
美中, 내일부터 말레이시아 무역회담...정상회담 의제 사전 조율 미국과 중국이 24일부터 나흘간 말레이시아에서 제5차 고위급 무역 회담을 연다.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사전 준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3일 홈페이지를 통해 미중 양국의 협의에 따라 중국 무역 협상을 이끄는 허리펑 부총리가 24∼27일 대표단을 이끌고 말레이시아를 방문, 미국 측과 무역 협상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상무부 대변인은 "양국은 올해 들어 양국 정상이 통화로 한 합의에 따라 중미 경제·무 2025-10-23 17:43 -
트럼프·시진핑 회담 앞두고...美, '對中 소프트웨어 수출통제' 만지작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對)중국 소프트웨어 수출통제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중국과 희토류를 비롯한 핵심 쟁점을 두고 신경전을 이어가는 가운데, 미·중 정상회담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자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며 협상 주도권 확보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로이터통신은 22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산 소프트웨어가 포함되거나 이를 기반으로 생산된 제품의 대중국 수출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소프트웨어는 노트북부터 항공기 엔 2025-10-23 15:23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 (23일) 7.0918위안...가치 0.05% 상승 23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36위안 내린 7.091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5%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2434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6766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4851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201.32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10-23 10:18 -
"中, 한일과 3자 통화스와프 추진…금융 안전망 강화" 중국이 역내 금융 안전망 강화와 위안화 사용 확대를 위해 한국·일본과 3자 통화 스와프를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2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판궁성 인민은행 총재가 최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세계은행(WB)·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 기간 중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와 만나 통화 스와프 문제를 논의했다고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통화 스와프 협정이 어떻게 체결될지, 또 2000년 5월 출범한 아시아 2025-10-22 15:54 -
미·중 갈등 불똥 우려…中에 '희토류 협상' 요청한 EU 중국이 최근 미국을 겨냥해 희토류 수출통제 강화 조치를 발표한 가운데, 유럽연합(EU)이 중국에 먼저 대화 요청을 하며 해결책 모색에 나섰다. 미·중 갈등 격화 속 EU에까지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은 이날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장관)과 약 2시간 동안의 화상통화 후 기자회견을 갖고 "건설적인 대화를 나눴다. (희토류 수출통제와 관련해) 긴급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중국 당국자들을 벨 2025-10-22 15:33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2일) 7.0954위안...가치 0.03% 하락 22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24위안 올린 7.0954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3%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2450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6816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5046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201.13원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10-22 10:18 -
[종합] 트럼프, 호주와 '희토류 동맹' 결성…미·중 정상회담 앞두고 대중국 압박 강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호주와 ‘희토류 동맹’을 결성하며 대중국 압박에 나섰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만나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광물 공급 협약을 체결했다. 전 세계 광물 공급망을 틀어쥐고 있는 중국이 방위·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희토류를 대미 관세협상의 지렛대로 활용하자, 광물 2025-10-21 15:08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 (21일) 7.0930위안...가치 0.06% 상승 21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43위안 내린 7.0930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6%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2734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7163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5241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9.70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10-21 10:20 -
대중국 관세 인하 가능성 시사한 트럼프…"최우선 현안은 희토류·펜타닐·대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對)중국 관세 인하 가능성을 거론하며 대중국 최우선 현안으로 희토류와 펜타닐, 대두를 꼽았다.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인 가운데 이들 세 가지 문제에 대해 중국 측 양보를 압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19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은 관세를 덜 내고 싶어할 것이고 우리는 이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면서 “하지만 그들도 우리 2025-10-20 16:07 -
[종합] 中 3분기 성장률 4.8% 둔화...4중전회 경제대책 '주목' 중국의 3분기 경제 성장률이 4.8%를 기록하며 1년 만에 다시 4%대로 내려앉았다. 밖으로는 미국과 관세전쟁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안으로는 내수 부진에 시달리면서 중국 경제 하방 압력이 커지자 추가 부양책에 대한 목소리도 커졌다. 이러한 가운데 20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중국 공산당 20기 중앙위원회 4차 전체회의(4중전회)에서는 기술자립과 내수 진작에 초점을 맞춘 중국 중장기 경제계획이 집중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中 성장률 연중 최저...내수부진에 소비·투자 하락세 20일 중 2025-10-20 12:36 -
[1보] 중국, 3분기 GDP 성장률 4.8%...1~3분기는 5.2% 중국의 올해 3분기 경제 성장률 목표치 ‘5% 안팎’ 달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20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1분기 성장률 5.2%보다는 둔화했으나 시장 전망치(트레이딩이코노믹스 집계) 4.8%에는 부합했다. 이로써 1~3분기 GDP 성장률은 5.2%를 기록하며 연간 성장률 목표 '5% 안팎'을 뛰어넘었다. 같은 날 발표된 9월 소매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했다. 전망치(2.9%)를 소폭 웃돌았으나 전달치(3.4%)에는 미치지 2025-10-20 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