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2026학년도 직업계고 신입생 원서접수 마감 결과 총 정원 2,700명 모집에 3,726명이 지원해 지원율 138.0%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2024학년도 106.2%, 2025학년도 119.9%에 이어 3년 연속 상승한 것이다.
일부 학교의 지원율이 200%를 넘는 등 도내 직업계고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북교육청은 전북글로컬특성화고 육성을 위해 이차전지·수소에너지·자동차·보건·제과제빵·펫·관광 분야 뿐만 아니라 내년에 자동차·AI팜 등 지역 전략산업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등 진로 선택 폭을 넓히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전략산업 기반 교육과정을 담은 글로컬특성화고 육성 정책은 직업계고 지원율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 산업체와 협업해 운영 중인 협약형 특성화고도 직업계고 선호도 상승에 힘을 보태고 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지역 기업·기관과의 정식 협약을 통해 현장 중심 실무교육, 산업체 맞춤형 교육, 취업 연계 지원 등 신산업 분야 인력 수요를 감안한 교육을 강화하면서 학생과 학부모들의 신뢰를 쌓고 있다.
이와 함께 내년에 첫 신입생을 모집하는 원광대 선취업 계약학과를 통해 직업계고 졸업 후 취업과 학위 취득이 동시에 가능해 지는 등 직업계고의 매력을 높일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학력신장 정책공유회 개최…성과 확산·정책 개선 토대 마련
이번 공유회는 올해 학력신장 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현장의 요구와 의견을 바탕으로 2026년 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전북교육청은 올해 학력신장 정책을 양적 실적 중심에서 벗어나 학생의 학습경험 질·만족도·핵심역량 향상 등과 같은 질적 성과 중심 체계로의 전환을 추진해왔다.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전북형 학력신장 모델을 강화하고, 기초학력에서 맞춤형 학력까지 학생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날 공유회에서는 1부 성과 공유 시간에 각 기관이 운영한 특색 있는 학력신장 사업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중등 맞춤형 학력신장 사업 성과(중등교육과) △초등 학력신장 정책 현황과 과제(유초등특수교육과) △아침 10분 독서 운영 성과(문예체건강과) △수학 문제해결반, 교원 역량강화 연수 및 영어 기초·확장 프로그램 운영 성과(창의인재교육과)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 운영 성과(민주시민교육과) △IB 기반 수업·평가 설계 역량 강화 사례(미래교육과) 등이다.
전주·김제·진안교육지원청은 지역 기반 학력신장 프로그램 운영 경험 발표를 통해 협력 모델 확산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분임 토의에서는 학력신장을 주제로 현장의 어려움과 개선 사항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학생 학력향상 지원 방안, 지역 기반 학생 맞춤형 지원 확충 등의 정책 개선안을 제시했다.
교육청은 분임 발표에서 도출된 의견은 학력신장 추진단을 중심으로 검토를 거쳐 2026년 정책 설계에 반영, 학교 현장이 체감하는 학력지원 체계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