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간 송금 혁신 열릴까…韓·日 프로젝트 핵심 인사가 짚은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핵심은

  • 핀테크위크 한금연 세미나…다케자와 CSO 주제 발표

  • "각국의 규제 환경과 장기적 위험 요인 함께 고려해야"

28일 오후 1시20분 다케자와 유스케 최고전략책임자(CSO)가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핀테크 시대 새로운 금융인프라: 디지털화폐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28일 오후 1시20분 다케자와 유스케 최고전략책임자(CSO)가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핀테크 시대 새로운 금융인프라: 디지털화폐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정윤영 기자]

“스테이블코인 인프라는 각 국가의 제도, 생태계, 기업이 함께 성숙해져야 구축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장기 목표와 국가 간 협력이 없다면 생태계는 단기 성과 중심의 악순환에 빠질 수 있습니다.”

다케자와 유스케 프로그마(Progmat) 전략책임자(CSO)는 28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핀테크 시대 새로운 금융인프라: 디지털화폐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다케자와 CSO는 한일 간 스테이블코인 기반 해외 송금 프로젝트인 ‘프로젝트 팍스(PAX Project)’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인물이다. 한국에서는 3월부터 신한은행·NH농협은행·케이뱅크 등이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다.

다케자와 CSO는 “블록체인처럼 기존 시스템과 쉽게 결합하기 어려운 기술일수록 어떤 성숙도와 판단 기준을 바탕으로 인프라를 설계할지 고민해야 한다”며 “제도적 틀, 생태계 특성, 민간의 역할까지 함께 고려해야 제대로 된 기반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법적·철학적 토대 없이 규제를 설계하거나 사업을 추진하면 겉핥기식 성과에 기대게 된다”며 “법적·제도적 기반이 정비되고 민간 투자가 촉진되는 선순환을 만들기 위해서는 눈앞의 이익을 쫓는 규제로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28일 다케자와 유스케 최고전략책임자CSO가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인사이트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정윤영 기자
28일 다케자와 유스케 최고전략책임자(CSO)가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인사이트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정윤영 기자]
그는 각국의 규제 환경과 장기적 위험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짚었다. 다케자와 CSO는 “한국과 일본뿐 아니라 유럽과 미국도 서로 다른 규제 체계를 갖고 있어 한 국가 중심의 접근만으로는 지속가능한 글로벌 시스템을 구축하기 어렵다”며 “국가 간 조율과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민간 기업의 역할도 강조했다. 그는 “기업이 단기 수익에만 집중하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프라와 연결되기 어렵다”며 “반대로 장기 관점에서 사회적 가치와 생태계 발전을 함께 고려하면 속도는 느릴지라도 지속 가능한 구조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일수록 더 높은 책임과 기준을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