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둔형 리더, 이해진·송치형이 직접 밝힌 네이버-두나무 합병 배경은

  • 이 의장·송 회장, 공동 기자간담회 나란히 참석

  • AI·웹3 글로벌 선점 위한 시너지 극대화

  • 기업융합 후 향후 5년간 10조원 투자

27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네이버 1784에서 진행된 네이버-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 3사 공동 기자간담회에서 3사 경영진들이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좌측부터 박상진 Npay 대표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송치형 두나무 회장 오경석 두나무 대표이사 사진네이버
27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네이버 1784에서 진행된 네이버-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 3사 공동 기자간담회에서 3사 경영자들이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상진 Npay 대표,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송치형 두나무 회장, 오경석 두나무 대표이사. [사진=네이버]

네이버가 두나무와 기업융합을 통한 시너지를 기반으로 글로벌 인공지능(AI)·웹3 생태계를 빠르게 선점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향후 5년간 인재양성·기술 인프라 부문에 최소 10조원을 투자해 K-핀테크의 글로벌 성공 사례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은 27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네이버 1784에서 열린 공동 기자간담회에서 "AI·웹3라는 거대한 흐름의 파도에서 혼자 살아남기엔 굉장히 어렵고, 좋은 기술과 인력을 갖춘 회사와 힘을 합쳐야만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면서 두나무와의 합병 배경을 설명했다. 

이 자리에는 평소 공식석상에 모습을 잘 비치지 않던 이 의장과 송치형 두나무 회장을 비롯해 최수연 네이버 대표, 오경석 두나무 대표,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등 3사 주요 경영진이 모두 참석했다.

이 의장은 "글로벌하게 보면 네이버는 시가총액이든 연구개발 투자든 100분의 1 수준의 정말 작은 회사"라면서 "매년 생존을 고민할 만큼 어려운 경쟁 속에서도 검색엔진은 물론 인공지능에서 세계에서 3번째 거대언어모델(LLM)을 개발할 정도로 기술에 진심으로 투자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네이버는 좋은 기술과 좋은 서비스를 갖고 있는 회사와 힘을 합치는 데 적극적"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기업이 상대적으로 자본력과 인프라가 풍부한 글로벌 기업에 맞서려면 역량있는 기업들 간 힘을 합쳐 과감하게 도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특히 이번 결정은 미국 중심으로 디지털 금융 혁신이 시작된 상황에서 미래 생존을 위해 하루빨리 혁신을 단행해야 한다는 절실함에서 비롯됐다고 강조했다. 

송치형 회장은 "글로벌 핀테크 시장을 보면 금융 전 영역에서 블록체인 기반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고, 금융 분야를 넘어 검색·쇼핑·콘텐츠 등 생활 서비스 전반으로 확산해 새로운 경제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다"면서 "이러한 변화는 주로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데, 다행히 아직 코인베이스의 시가총액은 약 100조, 서클은 약 25조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시점에 두나무, 네이버파이낸셜, 네이버가 각자의 강점을 결합하고 시너지를 낸다면 기술력·신뢰·고객 보유 측면에서 획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하지만 이 타이밍을 놓치면 글로벌 경쟁자들의 선점 효과로 따라가기 어려운 환경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업융합이 완료되면 양사는 기본적인 인프라와 인재양성 등에 최소 10조원을 투자한다. 최수연 대표는 "AI나 웹3 기술의 공통적 기반이 되는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같은 인프라 투자를 우선하고, 특히 인재양성에 과감한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면서 "기술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는 물론, 보안과 인프라 등 기본적인 투자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최대한 투자하겠다"고 강조했다. 

향후 상장이나 구조조정 등과 관련해서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진 않았다. 최 대표는 "네이버가 파이낸셜과 중앙법인을 합병한다거나 이런 구체적인 구조조정에 대한 향후 계획은 정해진 바 없다"면서 "상장을 고려하게 되면 주주가치 제고라는 기업의 본질적 목표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네이버와 네이버파이낸셜) 합병은 검토할 가능성이 낮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전날 각각 이사회를 열고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포괄적 주식 교환 방식으로 두나무를 네이버 계열로 편입하는 기업융합을 의결했다. 양사는 내년 5월 22일 각각 주주총회를 열어 해당 안건을 처리하고 합병 승인 이사회를 거쳐 내년 6월까지 관련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절차가 마무리되면 네이버파이낸셜은 두나무를 100% 자회사로 편입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