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엔비디아를 제외한 ‘매그니피센트7(M7)’이 일제히 오르며 강세로 마감했다. 장 초반에는 엔비디아 투자심리 악화로 지수가 급락했지만 인공지능(AI) 칩의 지형 변화 기대감이 증시에 불을 붙였다.
2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664.18포인트(1.43%) 올라 4만7112.4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60.76포인트(0.91%) 오른 6765.88, 나스닥종합지수는 153.59포인트(0.67%) 상승한 2만3025.59에 장을 마쳤다.
증시를 움직인 가장 큰 재료는 메타가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대신 구글의 텐서처리장치(TPU) 도입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였다. 미국 온라인 매체 더 인포메이션은 "메타가 2027년 자사의 데이터센터에 구글의 TPU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메타는 엔비디아 GPU 최대 구매 기업 중 하나여서 파급력이 컸다.
LNW의 론 알바하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컴퓨팅 비용이 저렴해지면 소비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며 "메타가 구글 칩을 구매하는 것을 보면 그런 현상이 실시간으로 나타나고 있고 이는 더 광범위한 AI 분야에 긍정적 신호"라고 분석했다.
TPU 확장 기대는 맞춤형 AI 칩(ASIC) 강자인 브로드컴에도 호재가 됐다. 브로드컴 주가는 이날 2% 가까이 올라 시가총액 1조8180억달러에 도달했다.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3% 상승해 시장 전망치와 일치했다. 반면 9월 소매판매는 0.2% 증가에 그치며 예상치(0.4%)를 밑돌아 소비 둔화가 확인됐다. 물가 안정과 지표 둔화 조합은 연준의 완화 전환 기대를 키웠다.
알바하리는 "지난 금요일 전까지만 해도 12월 금리인하 확률은 40%로 반영됐으나 지금은 80%가 넘었다"며 "며칠 만에 이처럼 기대가 변하는 변동성은 본 적이 없는데 그만큼 시장이 이 문제에 극도로 집중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의료건강이 2% 이상 올랐으며 산업과 금융, 임의소비재, 재료, 통신서비스, 필수소비재가 강세였다. 다우 지수가 1% 이상 뛰었는데 구성 종목 30개 중 엔비디아·셰브론을 제외한 28개가 상승했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의 전쟁에 대한 평화협정에 동의했다는 소식에 낙관론이 확산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평화협정 관련 "우리는 합의에 매우 가까워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에 기준금리가 25bp(bp=0.01%) 인하될 확률을 84.3%로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1.96포인트(9.55%) 밀린 18.56을 가리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