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배터리 등 첨단 분야에 투자하는 외국 기업들이 미국 내 제조 설비를 구축하는 초기 단계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데려오는 것을 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2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미국 노동자들이 H-1B 비자 소지자로 대체되는 것을 지지하는 것이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정신인가'라는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그러면 "대통령은 미국 노동자들이 대체되는 것을 지지하지 않는다"며 질문을 던진 기자에게 "당신은 대통령의 발언을 왜곡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제조업 부흥 기조를 설명한 뒤 "H-1B 비자 문제에 관해, 대통령은 매우 미묘하면서도 상식적 견해를 갖고 있다"며 "그는 외국 기업들이 수조 달러를 미국에 투자하면서 그들이 배터리 같은 매우 특수한 분야를 창출하기 위해 외국인 노동자들을 데려오는 것을 보고 싶어 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은 제조 시설과 공장을 짓고 가동시키는 초기 단계에 그런 것을 보길 원한다"며 "하지만 궁극적으로 대통령은 항상 그런 일자리에 미국 노동자를 보길 원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미국에 투자하는 외국 기업에, 미국에서 사업을 하려면 우리 국민을 고용해야 한다고 말해왔다. 따라서 대통령의 입장에 대해 많은 오해가 있었다"고 부연했다.
레빗 대변인이 언급한 ‘배터리 같은 매우 특수한 분야’는 최근 조지아주에서 한국인 노동자들이 집단 구금됐던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 사태를 계기로 전문직 외국인 비자인 H-1B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에 반발한 핵심 지지층의 불만을 진정시키려는 의도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에 대해 "그들은 초기 단계에 500∼600명 정도의 인력을 데려와 배터리를 만들고 다른 사람들에게 그 방법을 가르치려고 했다. 그런데 그들(이민당국)은 그들을 나라 밖으로 내쫓으려고 했던 것"이라며 특정 분야 H-1B 비자 인력 투입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9일에도 한국 노동자 단속과 관련해 "난 '바보같이 그렇게 하지 말라'고 했고, 우리는 이걸 해결했으며 이제 그들(한국인 노동자)은 우리 사람들을 가르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대만 기업 TSMC가 애리조나주에 건설 중인 반도체 공장 같은 "매우 복잡한 공장"을 건설해 운영하려면 수천명의 외국인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면서 "난 그런 사람들을 환영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