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대구음식산업박람회·커피&카페페스타 27일부터 동시 개최

  • 대구에서 만나는 다채로운 맛과 향의 미식 여행

  • 최신 외식 트렌드와 커피·카페 문화가 함께

대구광역시는 엑스코 서관에서 ‘제23회 대구음식산업박람회’와 ‘2025 대구커피카페페스타’를 동시 개최한다 사진대구시
대구광역시는 엑스코 서관에서 ‘제23회 대구음식산업박람회’와 ‘2025 대구커피&카페페스타’를 동시 개최한다. [사진=대구시]

대구광역시는 오는 27일부터 29일까지 3일 간 엑스코 서관에서 ‘제23회 대구음식산업박람회’와 ‘2025 대구커피&카페페스타’를 동시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대구의 특색 있는 맛과 최신 외식 트렌드, 커피·카페 문화를 한자리에서 선보이며, ‘미식과 커피의 도시, 대구’의 매력을 널리 알리는 기회가 될 것이다.
 
먼저 ‘대구의 맛! K-푸드의 중심!’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음식산업박람회에서는 대구 대표 먹거리와 K-푸드는 물론, 세계 각국의 다양한 미식 문화를 만날 수 있다.
 
170개 사 200 부스가 참여하며, ‘대구10미(味)’를 비롯한 지역 대표 먹거리와 세계음식관, 찰떡궁합관 등 새로운 전시관을 통해 지역 음식과 세계 음식의 조화를 선보인다.
 
대구10미(味)관에서는 대구 찜갈비, 뭉티기 등 대구를 대표하는 향토 음식으로 선정된 대구10미(味)를 소개하고, 포토존도 마련해 관람객들이 친근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명품한식관은 지역 유명 한식 대가 19명이 다채로운 전시·판매를 통해 고품격 한식의 정수와 세련된 맛을 선보인다.
 
먹거리골목관에는 서구 반고개 무침회 골목, 남구 안지랑 곱창 골목, 북구 함지공원 먹골촌이 참여하며, 먹거리 골목 특유의 정감과 색깔을 담아 관람객의 호기심을 자극할 예정이다.
 
우수식품홍보관에서는 대구시가 엄선한 지역 우수 식품을 소개한다. 팔공김치, 휴먼웰 등 9개 인증 업소가 참가해 지역 식품산업을 이끄는 대표 브랜드로서의 위상과 경쟁력을 선보인다.
 
밀키트관에서는 ‘외식 업소 가정간편식(밀키트) 메뉴 개발 컨설팅 지원 사업’에 참여한 40개 외식 업소의 밀키트 상품을 전시하고, 시식 및 현장 할인 판매 등 판촉 행사를 진행한다.
 
특히 올해는 ‘찰떡궁합관’, ‘세계관’ 등 새로운 특별관을 선보여 더욱 관심을 끈다. 찰떡궁합관에서는 떡을 활용한 다양한 퓨전 요리와 떡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레시피들을 소개하며, 세계음식관에서는 스페인의 타파스부터 튀르키예와 파키스탄의 케밥, 탄두리치킨까지 각국의 대표 음식을 맛볼 수 있는 특별한 미식 경험을 제공한다.
 
이어 ‘JOIN THE COFFEE&CAFE, Daegu’로 열리는 ‘2025 대구 커피&카페페스타’에는 80개 업체, 200 부스가 참가하며, 대구의 커피 문화를 소개하는 다양한 콘텐츠와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특히 지역 커피산업의 해외 교류와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콜롬비아 등 커피 산지 국가가 참여하는 ‘글로벌커피관’을 처음 선보인다.
 
비즈니스 산업관에서는 대구 커피 관련 신제품과 인기 제품을 소개하며, 업계 종사자들에게 폭넓은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한다.
 
대구커피빈헌터스관은 K-푸드 열풍을 커피에 접목한 기획관으로, 대구의 우수 로스터리들이 참여해 스페셜티 원두의 향미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대구커피특별관은 ‘생활 속 우리의 커피’를 콘셉트로, 캠핑과 커피를 결합한 ‘커피&아웃도어 존’과 한 달 먼저 만나는 ‘커피 크리스마스마켓 존’을 통해 커피와 관련된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글로벌커피관에는 콜롬비아, 과테말라, 베트남 등 해외 주요 커피 산지의 브랜드가 참여하며, 각국의 원두 특성과 커피 시음 스타일 등을 경험할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올해 2번째로 개최되는 ‘대구 컵 테이스터스 챔피언십(DCTC)’에서는 커피의 본질인 향미 감별 능력을 겨루는 대회가 열리며, 결승 진출자에게는 내년 3월 서울에서 열리는 전국 대회 출전을 지원 받게 된다. 또한 대구커피클럽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커피 문화와 창작에 대한 토크를 진행한다.
 
홍성주 대구광역시 경제부시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대구 음식산업의 성장 기반을 더욱 확고히 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글로벌 교류 확대에 이바지할 것이다”며 “대구의 고유한 음식과 커피 문화를 널리 알리고, 더 많은 관광객이 대구를 찾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