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총리급으로 격상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한국의 인공지능(AI) 정책은 역대 최대 예산을 바탕으로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
글로벌 자문기관은 물론 국내 전문가들도 이재명 정부 AI 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는 가운데 내년에는 한국의 AI 경쟁력이 안정적인 세계 5위권에 안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4일 글로벌 데이터 플랫폼 스타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AI 시장 규모는 90억6000만 달러(약 13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오픈AI는 지난달 23일 공개한 ‘한국 경제 청사진’ 보고서에서 “2030년까지 AI 스마트 팩토리 시장에서만 약 1000조원에 달하는 경제 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교육 중심 사회가 AI 인재 풀 확대에 기여하면서 미국·중국과 파트너십을 맺을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BBC 인터뷰에서 “한국은 에너지·토지·공장을 모두 갖춘 AI 인프라 강국이며, 정부가 AI 칩을 국가적으로 구매·적용하는 유일한 나라다. 이는 한국의 AI 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릴 기반”이라고 평가했다. 비슷한 시기 샘 올트먼 오픈AI CEO도 “한국의 AI 사용자 비율이 세계 최고이고, 혁신 제품의 테스트베드 역할이 뛰어나다”고 치켜세웠다.
세계 4대 회계·컨설팅 법인 PwC는 반도체·인프라·모델 등 AI 생태계 통합 투자로 한국이 중국을 이어가는 AI 강국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종합적으로 한국은 내년부터 AI 분야 세계 5위권에 안착할 것으로 보이며 낙관론에 따르면 2030년 이재명 정부가 목표로 하는 세계 3위도 불가능하지만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내 전문가들도 현 정부의 AI 정책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다만 규모의 경쟁에서는 미국과 중국을 따라잡기 어려운 만큼 한국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서둘러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공통적으로 나온다.
이종호 서울대 교수(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는 “AI 전문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이끌며 많은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며 “글로벌 리더가 되려면 한국이 강점을 가진 분야를 중심으로 빠르게 발전시켜야 한다. 저전력 반도체, 제조업 AI 전환 등이 바로 그런 분야”라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가 추진 중인 소버린 AI에 대한 평가도 호의적이다. 최병호 고려대 인공지능연구소 교수는 “챗GPT가 나온 지 3년 됐지만 지금은 제미나이 3.0이 주목받고 있다”며 “AI 업계에서는 구글처럼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최 교수는 “규모 경쟁에서는 한국이 미국과 중국을 이길 수 없다. 우리만 잘할 수 있는 것을 찾아야 한다”며 “선박을 비롯해 문화, 국방, 식품 등 이른바 ‘K-특화’ 분야에서 한국만의 AI 접근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규제 완화와 중소기업 중심 생태계 구축, 인재 양성 등 과제도 여전히 남아 있다. 미국의 비영리 싱크탱크 ITIF(정보기술혁신재단)는 “한국이 규제를 과감히 완화하고 중소기업 생산성을 두 배로 끌어올리지 않으면 2040년까지 GDP 1조 달러 추가 성장 기회를 놓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