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버스, 대전에 '테크 허브' 설립… "R&D·인재 집중된 도시"

  • "미래기술 개발 위한 필수 거점"

왼쪽부터 최성아 대전광역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 마크 벤톨 에어버스 연구·기술RT프로그램 총괄 이선혜 산업통상부 첨단민군혁신지원과장 사진에어버스
(왼쪽부터) 최성아 대전광역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 마크 벤톨 에어버스 연구·기술(R&T)프로그램 총괄, 이선혜 산업통상부 첨단민군혁신지원과장 [사진=에어버스]
에어버스는 한국에 '에어버스 테크 허브'를 설립했다고 18일 밝혔다.

대전의 국가 연구개발(R&D) 중심지에 위치한 새로운 허브는 공동 연구와 혁신을 위한 전담 거점으로 운영되며, 한국이 전략적 기술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에어버스 테크 허브는 한국의 산업의 강점을 기반으로 △미래 에너지 기술 개발 △첨단 경량 복합소재 △차세대 방위 및 우주 기술 등 핵심 연구 분야에 집중할 예정이다.

한국 내 에어버스 테크 허브는 산업통상부와 대전광역시와의 협력을 통해 설립된다.

마크 벤톨 에어버스 연구·기술(R&T)프로그램 총괄은 "한국과의 50년에 걸친 성공적인 산업 협력에 이어 대전에 에어버스 테크 허브를 설립하는 이번 결정은 에어버스의 장기적인 의지를 보여주는 분명한 신호"라며 "테크 허브를 통해 에어버스는 한국의 첨단 기술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미래 항공기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한국을 신뢰할 수 있는 장기 파트너로 지속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세계적 수준의 연구개발 기관과 인재가 집중된 대전은 이상적인 선택"이라며 "이 도시는 선진 학계와 산업적 포부가 완벽하게 결합된 시너지를 제공해 업계를 선도할 미래 기술 공동 개발을 위한 필수 거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어버스는 테크 허브의 미션 가속화를 위해 개소식에서 세 건의 업무협약(MOU)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에어버스는 산업통상부와 대전의 기술 생태계 내에서 연구 및 혁신 프로젝트를 신속하게 시작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진다. 이어 대전의 기술 환경 전반에 걸쳐 에어버스의 연구 및 혁신 계획을 지원하고 가속화한다.

아울러 한국무역협회의 국내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을 활용해 에어버스의 기술 중점 분야에 부합하는 신규 파트너를 발굴하고 협력한다.

에어버스는 LIG넥스원과 협력해 통신 신호 송수신에 사용되는 우주용 칩 안테나 기술도 개발한다. 또 전자기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 전기화 응용 분야에 필요한 능동 필터링 기술을 이엠코어텍과 개발하고 있다.

한편 한국은 일본, 네덜란드, 싱가포르에 이어 에어버스의 글로벌 테크 허브 네트워크에 합류한 네 번째 국가다. 이들 허브는 업계 리더, 학계, 정부 기관, 스타트업 간의 협력을 촉진해 항공우주 기술의 한계를 확장하기 위한 기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