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지만 '이제 다시 시작한다'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습니다. AI 보편화에 가장 앞장서는 기업이 되고자 합니다."
김태호 노타AI 최고기술책임자(CTO)는 18일 서울 마곡 코엑스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주최 ‘2025 R&D 매치업 챌린지’ 특별 강연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강연에서 김 CTO는 노타AI가 상장에 이르기까지 창업 과정을 소개했다. 노타AI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생 4명이 지난 2015년 창업했다.
김 CTO는 "창업 이후 다양한 오타를 줄이는 키보드, 경량화 로봇 등 다양한 아이템을 고민했다"며 "그러나 믿고 함께했던 초기 팀이 와해되고 공동 창업자가 이탈하는 등 창업 초기에 큰 위기를 겪었다"고 했다. 이어 "창업 멤버들은 지난 2018년 다시 합류했다"고 덧붙였다.
이 과정에서 김 CTO는 CTO 직을 내려놓고 약 1년간 고민했다고 밝혔다. 그는 "'기술을 어떻게 시장에서 의미 있게 만들 것인가'를 돌아봤다"며 "이후 AI 모델 경량화, 최적화 기술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사업 축을 확립했다"고 언급했다.
김 CTO는 노타AI 상장 과정에서 ‘테크(Tech)·팀(Team)·운(Luck)’ 세 가지 요소가 결정적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챗GPT 같은 혁신은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영역"이라며 "팀의 기술력과 함께 운이 따라야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도 상장 전날 ‘운이 필요하다’고 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아무리 뛰어난 기술과 팀을 갖춰도 시장 파급력은 예측 불가능한 '운의 영역'에 놓여 있다고 강조했다. 기술 개발은 통제할 수 있지만, 그 기술이 시장에서 만들어내는 반응은 완전히 다른 차원이라는 의미다.
특히 김 CTO는 "99번의 실패는 1번의 성공을 위한 과정"이라며 "단 한 번의 기회를 놓치지 않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그 1번의 성공이 왔을 때 이를 발판 삼아 회사의 성장을 확실히 끌어올려야 한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단기 성과에 흔들리지 않는 태도와 장기 파트너십이 필요하다고도 조언했다. 김 CTO는 "노타AI는 길게 보고 함께 갈 수 있는 파트너와 일하는 철학을 갖고 있다"며 "기술 기업일수록 단단한 비전으로 초심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했다.
조직 문화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팀원 모두가 회사의 비전과 핵심 가치를 공유해야 빠르고 일관성 있는 의사결정이 가능하다"고 했다.
아울러 ‘일하는 태도’도 성공 요인으로 꼽았다. 김 CTO는 "단순히 착한 일을 하라는 뜻이 아니라, 좋은 평판을 쌓고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네트워크를 만들라는 것"이라며 "이렇게 형성된 관계 자본은 언젠가 우리를 다시 도와주는 힘이 된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