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팡, 못난이 채소 직매입 누적 8000톤 돌파 [그래픽=쿠팡]
쿠팡이 최근 3년간 전국 농가에서 직접 매입한 '못난이 채소' 규모가 누적 8000톤(t)을 돌파했다. 외형이 일정 기준에 미치지 못해 일반 유통에서 제외되는 상품이지만, 신선도와 맛에는 차이가 없는 채소를 새벽배송으로 선보이며 농가와 소비자 모두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쿠팡은 18일 "못난이 채소를 본격 매입하기 시작한 2023년 1500t을 시작으로 2024년 3700t, 올해(1~10월) 2800t 이상을 전국 농가에서 직매입했다"며 "매입 물량이 매년 꾸준히 늘며 누적 규모가 8000t을 넘었다"고 밝혔다. 현재 무·버섯·당근·파프리카·애호박·오이 등 약 20종을 취급하고 있다.
특히 강원 평창·정선·태백·홍천, 충북 괴산, 충남 논산·부여, 전북 고창, 전남 해남·함평·화순, 경북 상주·의성 등 인구감소지역이 대거 포함됐다. 쿠팡은 제주까지 포함한 전국 수백개 농가로부터 채소를 직매입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쿠팡 관계자는 "못난이 채소는 평균 20%가량 저렴하게 제공돼 합리적 소비를 원하는 고객들에게 인기가 높다"며 "올해 폭염 등 이상기후로 피해를 입은 농가의 채소가 폐기되지 않고 수익으로 전환되는 구조가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현장 농가 반응도 긍정적이다. 경기 용인의 군자농원 관계자는 "버섯 작황이 나쁠 땐 헐값에 넘겨야 했지만, 쿠팡 덕분에 올해 10월까지 못난이 표고버섯이 쿠팡 납품량의 30%를 차지했다"고 말했다. 또 물류비 절감으로 고용도 작년 대비 20% 이상 늘었다고 부연했다.
충남 당진의 정칠화 그린팜 영농조합 대표는 "쿠팡의 대규모 매입으로 판매가 어려웠던 못난이 무가 효자 상품으로 자리 잡았다"며 "든든한 판로가 되어준 쿠팡 덕분에 매출이 늘고 농가 경영이 안정됐다"고 강조했다.
쿠팡은 산지에서 채소를 직매입한 뒤 자체 물류센터에서 검수·포장 과정을 거쳐 '로켓프레시' 새벽배송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한다. 중간 유통 단계를 줄여 농가 물류비 부담을 덜고, 신선한 농산물을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는 구조다. 이 같은 직매입 구조는 인지도가 낮던 소규모 농가 채소에도 새 기회를 열었다. 경기 이천 소재 버섯농가인 '송이애' 김성수 상무는 "전체 납품 버섯 물량 가운데 못난이 비중이 20%에 달한다"며 "폐기 비용이 줄어 수익으로 전환됐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다.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쿠팡의 못난이 채소 매입은 인구감소지역이 많은 전남 농가의 물류비 부담를 줄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모범 사례"라고 강조했다. 이어 "쿠팡의 물류·기술 역량이 농가 지원의 기반이 돼 선순환 구조를 만든 만큼 앞으로도 전남을 포함한 산간·농촌 중심으로 협력 농가 확대가 활발히 추진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쿠팡은 앞으로 산간 및 농촌 지역 중심으로 협력 농가를 더욱 늘릴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쿠팡의 물류와 기술 역량이 농가 지원의 기반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역 농가의 안정적인 판로를 넓히고, 소비자에게는 신선하고 합리적인 먹거리를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를 지속적으로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