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기업, AI 전환 3중고 직면 "돈도, 사람도, 확신도 없다"

  • 제조기업 82% "AI 활용은 아직"...비용 부담 호소 

  • AI 인력도 中의 5% 수준...기업·단계별 지원 필요

대한상공회의소 전경 사진대한상의
대한상공회의소 전경 [사진=대한상의]
인공지능(AI)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산업 전반에 AI 전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 자금 △인재 △효과성 등의 이유로 적용이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504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82.3%가 'AI를 경영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대기업(49.2%)보다는 중소기업의 활용도(4.2%)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AI 투자 비용에 대한 부담 수준을 묻는 질문에 기업의 73.6%는 '부담이 된다'고 답했다. AI는 대규모 투자가 수반되는 만큼 규모별 비용부담 호소 비율은 대기업(57.1%)보다 중소기업(79.7%)이 높았다. 

응답기업 절반(49.2%)은 데이터 활용이 힘든 이유로 '전문인력 채용 부담'을 들었고, 이어 '개인정보 이슈에 따른 규제 부담'(20.2%), '데이터 정제(Cleansing) 부담'(16.3%), ‘데이터 수집 시설 부담’(14.3%) 등을 꼽았다.

AI 전환 수요가 늘면서 인재 구하기는 더 어려워지고 있다. 'AI 활용을 위한 전문인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80.7%가 '없다'고 응답했다. 'AI 인력을 어떻게 충원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도 응답 기업의 82.1%가 '충원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내부직원 교육을 통해 전문 인력으로 전환한다는 기업(14.5%)이나 신규 채용한다는 기업(3.4%)은 17.9%에 불과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한국의 AI 인재는 2만1000명 수준으로 중국(41만1000명), 인도(19만5000명), 미국(12만명)에 비하면 턱없이 적은 수치다. 이런 가운데 한국은 AI 인재 '순이동(Net Flows)'이 -0.36 수준으로 '인재 순유출국'에 해당돼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AI의 효과'에 대한 확신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전환이 성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60.6%는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바라봤다.

대한상의는 AI 전환을 통한 기업 성장을 위해 먼저 '역량에 맞는 맞춤형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I 활용도가 높은 기업에는 일률적 프로그램 지원보다 자사 전략에 따라 유연하게 정책 지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자율성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AI 도입률이 낮은 기업에게는 단순 자금 지원, 장비 보급보다는 'AI 도입 전(前)-중(中)-후(後)'로 나눠 단계별 지원을 강조했다. 이외에도 초기 투자 부담이 큰 중소기업에는 구독형 서비스(SaaS) 기반의 AI 도입 모델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대한상의는 AI 성능 체감을 위한 실증 모범사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지금은 AI에 대한 미래 조감도를 정교하게 만드는 데 주력하기보다는 실제 데이터 축적과 활용, 인재 영입 등에 뛰어들어야 하는 시점"이라며 "강력한 지원, 파격적인 규제 혁신을 담은 선택과 집중의 메가 샌드박스라는 실행전략이 맞물려 돌아가야 한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