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독감이 어린이와 청소년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지난 14일 질병관리청의 의원급 인플루엔자 환자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올해 45주차인 지난 일주일(11월 2일∼11월 8일) 전국 300개 표본감시 의원을 찾은 독감 증상 환자(38℃ 이상 발열과 함께 기침·인후통 등 증상을 보이는 사람)는 외래환자 1000명당 50.7명으로 전주 대비 122.4% 급증했다고 연합뉴스가 인용보도했다.
최근 4주간 추이를 보면 독감 증상 환자는 42주차에 7.9명에서 43주차에 13.6명, 44주차에는 22.8명을 기록하며 가파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최근 독감 증가세는 18세 이하 청소년과 영·유아 사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주 7∼12세 독감 증상 환자는 외래환자 1000명당 138.1명으로 전주(68.4명)의 2배 수준이었다. 1∼6세는 1000명당 82.1명(전주 40.6명), 13∼18세는 75.6명(전주 34.4명)으로 모두 전주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상황이다.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독감 백신 3가와 4가 중 어느 것을 맞아야 하느냐는 글이 잇따르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독감 백신은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에 따라 그해 유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러스를 조합해서 만든다. 3가 백신과 4가 백신의 큰 차이는 바이러스 개수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크게 A형과 B형으로 나뉘며 3가 백신은 A형 바이러스 2종(H1N1, H3N2)과 B형 바이러스 1종(빅토리아)을 포함한다.
또 4가 백신은 3가 백신에 B형 1종(야마카타)이 추가된 형태로 4가 백신이 방어하는 바이러스 종류가 많다는 의미다.
매년 2월과 9월 WHO는 협회 및 정보회의를 열어 각각 북반구와 남반구의 바이러스 예측 결과를 공포하며 이에 따라 백신 조합이 새롭게 구성된다.
WHO는 3가 백신을 접종했어도 이 백신에 포함되지 않은 B형 바이러스가 유행하면 독감에 걸리는 '백신 미스매치' 사례가 늘어나자 2013년부터 4가 백신의 접종을 권장했다.
그러나 정부는 올해부터 백신을 3가로 전환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B형 야마가타 바이러스가 장기간 미검출돼 WHO가 야먀가타 바이러스를 제외한 3가 백신으로 전환을 권고한 데 따른 것이다.
질병관리청 등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2019년 7월 이후, 국외에서는 2020년 3월 이후 야마가타형이 검출되지 않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올해 3가 전환을 알리는 자료에서 "4가 백신과 3가 백신의 면역원성 결과, A형 및 B형에 대해 유사한 효능을 보였다"며 "4가 백신과 3가 백신의 국소 및 전신적 이상 반응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미국도 지난해부터 3가 백신으로 전환했고, 일본, 대만, 영국 등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올해부터 전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