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갈등이 심상치 않은 양상을 띠면서 일본 내에서는 2012년 일본이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국유화했을 당시와 상황이 비슷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양국 간 설전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을 자제하라고 공식 권고하면서 사태는 외교적 긴장을 넘어 경제적 압박의 양상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사태의 발단은 지난 7일,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가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대만 해협이 봉쇄돼 미군이 개입하고 중국이 전함을 이용한 무력행사를 수반한다면, 이는 일본의 존립위기 사태가 될 수 있다"고 발언하면서 시작됐다.
'존립위기 사태'는 일본이 직접 공격받지 않아도, 밀접한 관계국이 공격받을 경우 일본의 존립과 국민의 생명이 위협받는다고 판단되면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개념이다. 일본 현직 총리가 국회에서 대만 문제와 집단 자위권 행사를 공개적으로 연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지만 이후에도 중국 외교부 린젠 대변인은 "대만 문제에서 불장난을 해서는 안 된다. 불장난을 하는 자는 불에 타 죽을 것"이라는 강도 높은 발언을 내놓았고, 쑨웨이둥 외교부 부부장은 일본 주중 대사를 초치해 항의했다. 이에 일본 외무성도 맞대응 차원에서 주일 중국대사를 불러 항의 의사를 전달했다.
급기야 15일에는 중국 정부가 자국민에 일본 방문 자제를 공식 권고하고 중국 항공사들은 일본행 항공편을 무료로 취소·변경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고 공지했다. 중국인 관광객은 일본 외국인 소비의 약 28%를 차지하는 만큼, 일본 내에서는 중국이 일본 관광 산업에 타격을 줄 수 있는 경제적 압박 효과를 노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에서 활동하는 한 중국 전문가는 아주경제에 "지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APEC) 회의에서 다카이치 총리와 정상회담까지 한 중국으로서는 체면이 서지 않는 상황"이라며 중국의 분위기를 설명했다. 그는 "중국에서는 2012년 일본 민주당 정권이 센카쿠 열도를 국유화했을 당시와 비슷한 충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센카쿠열도 분쟁으로 중국 내에서는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광범위하게 발생해 일본 경제에 타격을 입혔다.
이처럼 중·일 갈등이 경제적 분야에까지 확전될 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일본 언론들은 중국이 관광 자제 외에도 수산물 수입 제한, 희토류 통관 지연 등으로 압박 수위를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또한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정계에 일·중 간 파이프가 부족해졌다"면서 "다카이치 정권에서는 아베 신조 전 정권 하의 니카이 도시히로 자민당 간사장처럼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진 인물이 보이지 않는다. 전통적으로 친중 성향의 공명당도 연립 정권에서 이탈했다"고 상황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