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추천위원회는 11월 14일 세 번째 사장 공모 공고를 내고 다시 후임 찾기에 나섰다.
지난해 8월과 올해 2월 두 차례 공모가 연달아 결실을 맺지 못한 사이 ‘낙하산·알박기’ 내정설은 반복됐고 사장 자리에 대한 여론의 신뢰는 크게 흔들렸다. 업계가 이번에도 “또 다른 낙하산이 아닌가”를 우려하는 이유다.
그러나 지금 필요한 질문은 “누가 올까”가 아니다. “이 자리에 반드시 필요한 자격과 책임은 무엇인가”다.
출국납부금 인하로 관광진흥개발기금 재원이 급감한 가운데 제도 복원과 ‘현실화’를 둘러싼 논쟁도 계속되고 있다. 지역 관광인력 부족, 산업의 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 전환, 관광수용태세 개선 등 현장에는 매일 과제가 쌓인다. 이 모든 난제의 최전선에 한국관광공사가 있다.
한국관광공사는 한국 관광산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정책·산업 플랫폼 기관이다. 관광공사 사장 역시 단순한 기관장이 아니다. 정부 관광정책과 산업 생태계를 잇는 국가 컨트롤타워다.
그렇기에 우리는 누적된 실망을 기억해야 한다. 역대 사장 중 다수는 관광정책·산업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낙하산 논란 속에 취임했고 “여행을 좋아한다” “여행을 많이 다녔다”는 취향을 자격의 증명처럼 소모한 이도 있었다. 취미는 산업 역량을 대신하지 못한다.
공모 자격요건은 최고경영자로서 리더십과 관광 분야 경험, 조직혁신 능력, 청렴성과 도덕성 등을 제시하고 있지만 지금은 그보다 더 냉정한 잣대를 가져야 할 때다. 정권과 코드가 맞는 인물이 아니라 한국 관광산업의 구조와 데이터를 이해하고, 세계 시장을 분석해 정책 언어를 산업 전략으로 번역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일본·동남아와 경쟁하고 미국·유럽·중동과 협력하는 시대의 관광공사 사장은 국내 행정 논리에 갇힌 리더가 아니라 글로벌 전략가여야 한다.
관광 정책은 정권의 시간이 아니라 산업의 시간으로 움직여야 한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기관장이 교체되고 전략이 초기화되는 구조로는 세계 관광시장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이미 충분히 많은 불확실성을 견뎌온 관광업계에 필요한 것은 또 한 번의 낙하산이 아니라 일정한 전략의 방향성을 유지해 줄 지속 가능한 리더십이다. 산업은 멈춰 있지 않고 기다려주지도 않는다.
관광을 좋아하는 사람을 넘어 관광을 아는 사람. 그리고 사람과 지역의 시간을 함께 책임질 수 있는 사람. 한국관광공사의 다음 사장은 그런 인물이어야 한다. 그것이 한국이 단순한 ‘방한객 2000만명 시대’를 넘어 진정한 관광대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가장 단단한 출발선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